• 아시아투데이 로고
우즈베키스탄, 개혁 개방 일환 화학기업 민영화

우즈베키스탄, 개혁 개방 일환 화학기업 민영화

기사승인 2019. 04. 11. 13:0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10년 간 121억 달러 투자…화학산업 발전 추진
화학공사 일부 민영화 추진·외국인 설비투자 환영
GettyImages-1133169512
/게티이미지뱅크
구(舊) 소련에서의 독립 이후 중앙아시아에서 이루어진 권력 승계는 무력이나 충돌을 동반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우즈베키스탄은 지난 2016년 25년 동안 통치하던 이슬람 카리모프 전 대통령이 타개하면서 이루어진 권력 승계가 비교적 순탄했다. 후계자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법치에 기반을 둔 개혁·개방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학산업의 민영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신화통신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지난주 10년 간 121억 달러(약 13조8200억원)를 투입해 화학산업을 정비하고, 특히 국영 우즈벡화학공사 산하의 화학기업들에 대한 민영화 계획을 발표했다.

우즈베키스탄의 화학산업은 지난 1932년 슈투르 유황광산에서 시작돼 광물비료 생산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광물비료란 질산칼륨이나 과인산석회 등 광물질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화학비료를 말한다. 이후 1940년 막샴 치르치크를 시작으로 페르가나조트·나보이조·암모포스 등의 기업이 설립돼 화학산업의 근간을 이뤘다. 주목할 점은 우즈베키스탄 내 주요 화학기업들은 모두 국영 우즈벡화학공사에 소속돼 있다는 점. 이들은 2017년 기준으로 총 170종 이상의 화학물질을 생산하고 있다.

우즈벡화학공사는 산하 화학기업과 해외 투자기업 간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중이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화학비료 등 생산 기반을 갖추고 있지만 설비 및 기술 노후화로 인해 생산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 이를 위해 해외 투자자는 통화가 다른 재무제표를 이중으로 작성해야 한다는 규정을 삭제했고, 투자금 중 일부를 우즈베키스탄 통화로 가지고 있도록 하는 이중환율제도를 폐지했다. 페르가나조트 등 일부 화학기업은 사회적 의무를 수용하는 조건으로 매각한다는 계획도 추진중이다.

카리모프 전 대통령은 면화 생산기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초등학생까지 동원할 정도의 ‘흑역사’를 갖고 있지만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현대적 기업지배구조 도입, 국제회계기준 확립, 기업경영 구조개선 등 친(親) 기업형 아젠다를 중심으로 경제 자유화를 추진하고 있다. 화학산업의 민영화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해외 선진기술을 도입하고, 안정적인 자본을 확보해 민간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킴으로서 국가 경제에서의 역할 확대를 도모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