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은행권 기업대출 ‘껑충’…가계부채 규제에 기업영업 올인

은행권 기업대출 ‘껑충’…가계부채 규제에 기업영업 올인

기사승인 2019. 04. 12.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clip20190411180337
은행권이 기업자금대출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와 당국의 가계대출 증가세 억제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예대마진에 의존하는 수익구조상 기업대출 강화가 전체 실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회사채 발행이나 유상증자 등 자체 자금 조달이 가능한 대기업의 은행 의존도가 낮아지면서, 리스크 관리가 가능한 중소기업 대출에 눈을 돌리고 있다.

11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올 1분기 기준 4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은 지난해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의 경우 1분기 기준 기업대출금액이 102조6700억원으로, 지난해말 99조7474억원 대비 2.9% 증가했다. 같은 기간 KEB하나은행도 92조1833억원에서 944조4160억원으로 2.4%, 우리은행도 92조8100억원에서 94조3960억원으로 1.7% 늘었다. 4대 시중은행 중 KB국민은행만 116조2493억원에서 115조7858억원으로 0.3% 소폭 감소했다.

올 들어 은행권의 기업대출 증가세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더욱 뚜렷하다. 올 1분기를 기준으로 지난해 1분기 기업대출금액을 살펴보면 신한은행이 8.9% 증가했으며 KEB하나은행 7.5%, KB국민은행 6.9%, 우리은행 3.4% 등 모든 은행권의 기업대출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은행들이 기업대출에 목을 매는 건 가계부채 규제의 여파 때문이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10일 은행 여신 담당 임원들과 은행연합회 관계자들을 소집해 가계부채관리점검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김 부위원장은 “정부는 가계부채 문제를 중대한 위험요인으로 인식하고, 관리 노력을 지속해 왔다”며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관리목표를 ‘5%대’로 설정하고, 상황에 따라 관리감독의 강도를 조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가계부채 증가세를 잡기 위해 은행권의 협조를 당부한 상황이다.

상대적으로 기업대출은 독려하는 분위기다. 정부는 생산적금융을 위한 기술금융 확대, 혁신금융 강화를 위한 동산 및 지식재산권 담보대출 증대, 관계형 금융과 사회적 금융을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 지원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은행권 역시 이에 화답하고자 중소기업 금융지원이나 소상공인의 교육·컨설팅·창업지원 등 소호(SOHO) 대출을 적극 늘리는 추세다. 이에 더해 오는 2022년부터 국제결제은행(BIS)의 자기자본비율 산출 방법이 개편돼, 국내 은행의 BIS비율이 0.5∼0.7%p 상승하는 것도 기업대출 증가에 탄력을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본 부담을 던 은행의 기업대출 취급 여력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기업대출 확대와 별개로 숙제로 남는 건 리스크 관리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업대출을 늘리려 마음먹고 실행하는 건 얼마든지 가능하다”며 “정작 문제는 부실을 줄이는 건전성 관리”라고 토로했다.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의 경우 대부분 은행의 대출 영업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자체 자금조달 능력 덕이다. 이와 달리 요즘 은행의 기업대출 담당자들은 간접조달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중소기업 중 상환능력을 갖춘 우수한 곳을 찾기 위해 눈에 불을 켜고 있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릴레이션십 매니저(RM) 교육을 강화하는 등 현장(지점)의 기업금융 역량을 키우기 위한 은행간 경쟁이 치열하다”고 말했다. RM은 현장에서 직접 기업을 찾아가 대출 등을 유치하는 기업금융 전담인력을 말한다. 대개 점포마다 2명, 많게는 4명까지 있는데, 과거 부지점장이 주로 맡다가 최근 들어 기업대출 영업이 강화되면서 차장급까지 확대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RM의 경우 기업 네트워크가 탄탄해야 해서 무조건 인원만 늘린다고 되는 건 아니다”라며 “기업금융 전문가 양성을 위해 노력중”이라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