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일본·인도, 스리캉카 항구 시설 확충 나서 …‘중국 견제’

일본·인도, 스리캉카 항구 시설 확충 나서 …‘중국 견제’

기사승인 2019. 05. 21. 17:0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clip20190521152112
일본과 인도가 스리랑카와 손잡고 콜롬보항의 대대적인 시설 확충에 나선다. 스리랑카 서부에 위치한 콜롬보항은 서남아시아의 관문으로 불리는 해상 물류의 중심지로 컨테이너 터미널을 확장, 컨테이너 취급량을 늘린다는 것이 주요 골자. 이는 중국이 손에 넣은 함반토타항으로 해상 물류의 중심지가 옮겨가는 것을 방지,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려는 포석에 따른 것이다. 중국은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함반토타항 건설을 위한 돈을 댔다가 ‘빚의 덫’에 빠진 스리랑카로부터 항구 운영권을 손에 넣은 상태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20일 일본·인도·스리랑카 3개국이 공동으로 콜롬보항의 대대적인 시설 확충에 나선다고 보도했다. 3개국은 올 여름까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연내 공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콜롬보항은 현재 스리랑카 해운 화물의 90%를 취급하고 있다. 유럽·중동·아프리카와 아시아를 잇는 해상 물류의 중요한 거점이어서 컨테이너 취급량은 서남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2017년 기준 으로 20피트 컨테이너 621만대를 수용했다. 하지만 서남아의 경제 성장에 따라 화물량이 증가하면서 콜롬보항의 컨테이너 처리 능력은 한계점에 도달한 상태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개국은 콜롬보항의 동쪽 컨테이너 터미널에 대형 컨테이너선도 들어올 수 있도록 시설을 확충하기 위한 실무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올 여름까지 사업 규모·운영 형태·참여 기업 등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인데, 사업 비용의 일부는 일본의 공적개발원조(ODA)로 충당할 계획이다. ODA는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 발전을 위해 선진국이 공여하는 증여성 차관을 말한다. 일반 차관보다 금리가 낮기 때문에 원조를 받는 쪽에서 유리하다.

일본에게 스리랑카 등 인도양 연안 국가는 해상 교통로에 위치해 있다. 이들 국가의 항구에 거점을 마련하면 해상보안 능력은 물론 유조선·상선의 안전성도 강화된다. 일본이 콜롬보항 시설 확충에 적극 나서는 이면에는 이같은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것. 특히 3개국의 콜롬보항 시설 확충 배경엔 ‘중국 견제’가 깔려 있다. 중국은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내걸고 인도양과 주변 국가들에게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주로 인프라 개발 등에 대한 막대한 투자로 영향력을 높이는 방식. 일본은 이를 차단하기 위해 인도 등과 함께 인도·태평양 지역의 개발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는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구상’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번 콜롬보항 시설 확충도 중국이 획득한 함반토타항으로 해상 물류의 중심이 옮겨갈 수 있다는 우려에서 나온 것이다. 일본 정부의 한 관계자는 “콜롬보항의 시설을 확충하지 못하면 화물 선적이 함반토타항을 중심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스리랑카는 지난 2010년 중국으로부터 빌린 돈으로 함반토타 지역에 항구를 건설했다. 중국으로부터 60억 달러(약 7조원) 규모의 차관을 도입했지만 채무 상환이 어려워지자 2017년 대부분의 항구 지분과 99년 간의 운영권을 중국의 국영 항만기업에 넘겨야 했다. 이로 인해 중국이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신흥국들을 빚의 덫에 빠트려 영향력을 강화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채무 함정 외교’라는 것이다.

중국은 참여국들이 부채 위기를 겪고 있는 것은 결코 일대일로 프레젝트 때문이 아니라고 강변하고 있지만 논란을 잠재우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점을 의식, 일본과 인도는 콜롬보항 시설 확충을 스리랑카와 공동으로 추진한다. 낮은 금리의 ODA 지원에다 스리랑카 단독이 아닌 3개국이 참여하면 빛의 덫이 발생할 가능성도 대폭 줄어들기 때문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