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두 얼굴의 캄보디아…‘언론탄압 속 亞 미디어서밋’

두 얼굴의 캄보디아…‘언론탄압 속 亞 미디어서밋’

기사승인 2019. 06. 12. 18:5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KakaoTalk_20190612_182133110
유네스코 등의 후원으로 운영되는 아시아태평양방송기구(AIBD)가 캄보디아 시엠립에서 6월 10~14일 아시아 미디어 서밋을 개최한다. 일각에서는 언론탄압이 극심한 캄보디아에서 해당 회의를 개최한다는 것은 ‘아이러니’하다는 등 비판의 목소리가 일고있다./사진=AIBD 제공
캄보디아는 외견상 크메르 루즈 대학살의 상처를 딛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뤄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내면에는 지독한 언론탄압이 똬리를 틀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시엠립에서 아시아 미디어 서밋(Asia Media Summit)이 개최되고 있는 가운데, 캄보디아에서 이같은 행사가 열리는 것은 ‘아이러니’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지난해 7월 총선을 앞두고 캄보디아 언론의 자유가 극히 제한되기 시작했다. 30년 넘게 집권중인 훈센 총리는 40%가 넘는 이례적 지지율을 기록하며 턱 밑까지 추격해 온 캄보디아 구국당(CNRP)을 필두로 반(反) 정부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언론탄압 카드를 꺼내 들었다.

2017년 8월 32개 FM 라디오 주파수를 폐쇄하도록 명령한 것이 대표적. 특히 자유아시아라디오(RFA)·미국의 소리(VOA)·민주주의 목소리(Voice of Democracy) 등의 크메르어 방송이 타킷이었다. RFA가 프놈펜 지국 폐쇄에 강력 항의하자 캄보디아 당국은 소속 언론인을 간첩으로 취급하겠다며 협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같은 해 11월 캄보디아 당국은 RFA 프놈펜 지국의 기자 2명을 체포했다. 혐의는 뉴스 보도를 위해 불법으로 스튜디오를 설치했다는 것.

RFA뿐만이 아니다. 2017년 9월 캄보디아에서 몇 안 되는 독립 지방신문으로 꼽히는 캄보디아 데일리가 630만 달러의 세금 체납 혐의로 강제 페쇄됐다. 2018년 5월에는 가장 유력한 신문인 프놈펜 포스트에 390만 달러의 미납 세금 고지서를 청구, 결국에는 캄보디아 당국과 유대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말레이시아의 기업인에게 매각하도록 만들었다. 훈센 총리의 친인척 및 측근들에 의해 장악된 국영방송은 여당인 캄보디아 인민당(CPP)의 나팔수 역할을 하고 있다.

소셜미디어 역시 예외는 아니다. 언론탄압으로 인해 시민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모이자 훈센 총리는 일련의 규제 법안 제정을 주도했다. 통신을 차단할 수 있는 무제한의 재량권을 당국에 부여한 것이 대표적이다. 2018년 5월에는 모든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이 인터넷에 유포된 콘텐츠를 감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도록 하는 법령을 승인했다. 특히 모든 트래픽이 캄보디아 국영 데이터관리센터를 통과하도록 만들어 사실상 ‘빅브라더’ 체계를 구축한 것. 물론 온라인 활동을 감시하는 사이버 팀도 있다.

캄보디아의 언론 자유 지수는 바닥권을 맴돌고 있다. 2016년 128위, 2017년 132위, 2018년 142위, 그리고 올해는 143위를 기록하는 등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한 언론인은 “캄보디아의 언론탄압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일반특혜관세(GSP)를 연결고리로 언론 자유에 대한 보장을 받아내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훈센 총리에겐 중국이라는 대안이 존재하는 만큼 언론탄압이 지속될 여지가 크다”고 덧붙였다. 캄보디아의 언론 자유를 위해서는 갈 길이 너무 멀다는 얘기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