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분양가상한제 확대 초읽기,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둔화

분양가상한제 확대 초읽기,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둔화

기사승인 2019. 08. 10.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서울 아파트값 0.09%→0.04%
재건축ㆍ일반아파트 모두 상승폭 축소
재건축-일반매매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 상한제 도입이 다음 주 초 발표를 앞두고 서울 아파트값 오름폭이 크게 둔화됐다. 재건축을 비롯해 일반아파트도 상승폭이 모두 축소됐다. 분양가 상한제 확대 발표를 앞두고 매수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지는 분위기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0.04% 올라 지난주(0.09%)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재건축 아파트와 일반아파트 가격 변동률도 각각 0.09%, 0.03%로 전주보다 오름폭이 축소됐다. 이 밖에 신도시는 0.01% 하락했고 경기·인천은 보합세(0.00%)를 나타냈다.

한편 전세시장은 무더위와 휴가철 영향으로 큰 움직임이 없는 가운데 서울이 0.01% 소폭 상승했고 신도시가 0.02% 올랐다. 반면 경기·인천은 0.01% 떨어져 약세가 계속됐다.

◇ 매매
서울은 △강남(0.12%) △영등포(0.07%) △구로(0.06%) △노원(0.06%) △종로(0.06%) △중구(0.06%) △도봉(0.05%) △성북(0.05%) 등의 순서로 올랐다. 서울은 그 동안 가격 상승을 견인했던 강동과 서초, 송파가 관망세로 돌아서며 상승폭이 줄었다. 반면 강남은 일반 분양을 앞둔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가 2000만-7500만원 상승했다. 이 밖에 삼성동 상아2차가 8500만원 가량 올랐고 대치동 개포우성1차와 역삼동 역삼e편한세상 등도 2500만-5000만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일산(-0.06%) ▼산본(-0.05%)이 하락했고 △위례(0.04%)는 상승했다. 이외 지역은 큰 변동 없이 보합세(0.00%)를 나타냈다. 일산과 산본은 거래가 뜸해 가격이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외곽지역이나 아파트 공급이 꾸준한 곳 중심으로 하락했다. ▼오산(-0.07%) ▼평택(-0.07%) ▼광주(-0.07%) ▼김포(-0.05%) ▼시흥(-0.04%) ▼의정부(-0.04%) 등이 떨어졌다. 오산은 궐동 우남퍼스트빌이 1000만원 하락했다. 반면 △안양(0.07%) △성남(0.05%) △광명(0.05%) △하남(0.04%) 등은 올랐다. 안양은 입주연차가 길지 않은 대단지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안양동 래미안안양메가트리아, 호계동 평촌더샵아이파크가 1000만-4000만원 올랐다.

◇ 전세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여름 무더위와 휴가철 등의 영향으로 움직임이 크지 않았다. △종로(0.13%) △강서(0.06%) △동작(0.04%) △서대문(0.04%) △중랑(0.03%)등이 올랐고 ▼성북(-0.01%)이 떨어졌다. 종로는 창신동 두산, 이수가 1000만원 상승했고 강서는 염창동 염창1차보람더하임과 마곡동 마곡13단지힐스테이트마스터가 500만-1500만원 올랐다. 반면 지난 6월 1,000가구 정도가 입주한 성북은 하월곡동 두산위브가 500만원 하락했다.

신도시는 △동탄(0.12%) △위례(0.08%) △중동(0.07%) △평촌(0.02%)이 올랐고 ▼산본(-0.15%)은 하락했다. 동탄은 계속되던 입주물량이 다소 주춤해지면서 가격이 올랐다. 산본은 인접한 군포 송정지구 입주 영향으로 산본동 매화주공14단지가 1000만원 가량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시흥(-0.13%) ▼고양(-0.06%) ▼용인(-0.03%) ▼평택(-0.02%) ▼남양주(-0.02%) 등이 하락했고 △의왕(0.19%) △의정부(0.03%) △김포(0.03%)는 상승했다. 고양은 7월부터 원흥동과 향동동에 새아파트 입주가 크게 늘면서 대화동 대화마을GS자이와 대화마을동문, 일신건영휴먼빌, 덕이동 하이파크시티신동아파밀리에4단지 등이 500만-1000만원 떨어졌다. 반면 의왕시는 대규모 단지에 수요가 이어지면서 내손동 포일자이, 의왕내손e편한세상 등이 250만-500만원 상승했다.

임병철 수석연구원은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 상한제 발표가 임박해지면서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장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며 “어떤 내용이 담길지에 따라 정비사업 추진 사업장에 희비가 엇갈릴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임 수석연구원은 “또 분양가 상한제 이외에 추가 규제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여기에 한일 무역갈등과 미중 무역전쟁 등으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또한 커지고 있어 분양가 상한제 확대 발표 이후 집값 상승세에는 일단 제동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