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고교학점제’ 내년 마이스터고서 첫 발...학교 현장은 우려 목소리

‘고교학점제’ 내년 마이스터고서 첫 발...학교 현장은 우려 목소리

기사승인 2019. 08. 21. 16:4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교육부, 마이스터고 51개교 내년 고교학점제 도입
1학점 수업량 16회, 총 이수학점 192학점
일부 '무늬만 고교학점제' 되는 것 아니냐 지적도 나와
마이스터고 학점제 도입 발표하는 박백범 교육부 차관
박백범 교육부 차관이 21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2020학년도 마이스터고 고교학점제 도입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연합
교육부가 고등학생도 대학생처럼 본인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는 고교학점제를 내년 마이스터고에 도입한다고 밝혔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시기상조’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교육부는 고교학점제를 2022년에는 특성화고와 일부 일반고에, 2025년 본격 시행 계획을 목표로 연구·선도학교를 운영 중이지만, 해당 학교에서도 고교학점제 운용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마이스터고 51개교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방안을 발표했다.

고교학점제란 학생들이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교육 과정이다. 미래 신사업 수요를 반영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와 적성을 고려한 직업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직업계고인 마이스터고에 우선 고교학점제를 도입한다는 것이 교육부의 설명이다.

우선 향후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비롯해 평가제도, 졸업제도 등 고교 운영 전반에 걸친 변화가 필요하다. 기존 고교의 교육과정 이수는 ‘단위’를 기준으로 운영됐지만, 앞으로는 ‘학점’으로 전환해 교육과정이 적용된다.

또 모든 학생이 서로 다른 과목을 듣기 때문에 평가의 형평성을 고려, 성취평가(절대평가)가 적용돼야 한다. 요건만 총족할 경우 졸업할 수 있도록 유연성도 확대돼야 한다.

유연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교육부는 1학점 수업량을 현행 17회에서 16회로, 총 이수학점은 현행 204단위에서 192학점으로 조정하고, 학교 밖 학습경험과 공동교육과정 등 운영을 통해 학생의 수업선택권을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다른 학과 과목에 대한 선택권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예를 들어 기계과 ‘기계 조작 과정’ 수강생이 소프트웨어(SW) 과목을 수강해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기계 조작원’으로 산업계에서 원하는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다.

학과 내에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과 연계한 세부 직무경로를 다양하게 개설할 수 있다. SW 관련학과에 ‘SW개발 과정’과 ‘정보보안 과정’으로 세분화해 관련 산업에 적합한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취지다.

이에 따라 전국 51개교 마이스터고에서 1학년생들은 본인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들을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또 본인의 전공이 아닌 다른 학과 수업도 들을 수 있으며, 최소 24학점을 취득하면 부전공으로 인정 받을 수 있다.

기존과 다르게 일부 과목에서 절대평가가 도입돼 A~E등급으로 평가를 받게 되며, E등급을 받으면 보충학습을 받아야 한다.

교육당국은 이른바 명장 양성을 목표로 하는 마이스터고부터 고교학점제를 도입해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대표적으로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서는 수업 다양화가 필수적으로 필요하지만, 교육당국이 각 학교에 추가로 배치한 교사는 1명에 불과했다는 지적이다. 즉 ‘무늬만 고교학점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일반고로 고교학점제가 확대되면 더 큰 혼란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고교학점제 업무를 담당한 한 관계자는 “일부 마이스터고에서 실시되는 고교학점제는 교육당국이 계획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며 “학교현장에서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박 차관은 “산학겸임 교사 등 현장전문가의 교육 활동 참여를 확대하고, 취업지원인력 및 진로전담교사를 확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