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애플, 무역전쟁 와중에 중국 OLED 채용 검토...삼성에 가격인하 압박?

애플, 무역전쟁 와중에 중국 OLED 채용 검토...삼성에 가격인하 압박?

기사승인 2019. 08. 22. 06:4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닛케이 "애플, 아이폰에 중 BOE의 OLED 디스플레이 채용 조정 중"
"삼성보다 20% 저렴 BOE 채용으로 미 관세 10% 상쇄 의도"
미중무역전쟁 격화시 중 제품 구매 금지 위험성...삼성에 가격인화 압박하나
애플
애플이 아이폰에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 징둥팡(京東方)과학기술그룹(BOE)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채용하기 위한 최종 조정에 들어갔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미 민간기업의 중국산 제품 구매를 중단시킬 가능성도 있어 애플의 BOE 제품 채용에는 위험성이 수반한다고 닛케이는 분석했다./사진=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애플이 아이폰에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 징둥팡(京東方)과학기술그룹(BOE)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채용하기 위한 최종 조정에 들어갔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닛케이는 애플이 BOE의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를 2020년부터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에 채용하기 위해 성능 등의 시험을 시작, 올해 말까지 최종 판단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미 민간기업의 중국산 제품 구매를 중단시킬 가능성도 있어 애플의 BOE 제품 채용에는 위험성이 수반한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번 조치는 애플에 플렉시블 OLED를 공급하는 삼성디스플레이에 대한 가격 인하 압박 효과를 노리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플렉시블 OLED는 아이폰XS와 XS 맥스 등 프리미엄 모델에 채택됐다. 화질이 우수한 데다 소재의 유연성이 뛰어나 모서리가 둥근 디자인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애플은 그동안 이 OLED 공급의 대부분을 삼성디스플레이에 의존해왔고, 일부 LG디스플레이 제품도 포함돼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영국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지난해 OLED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삼성과 LG의 점유율은 96%로 OBE가 애플에 납품하게 되면 양사의 독과점이 깨질 가능성이 있다.

닛케이는 이번 조치가 BOE 제품이 삼성보다 20% 정도 저렴, 비용을 낮추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애플이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아이폰 점유율 하락과 미·중 무역전쟁에 직면, 경쟁력 향상을 위해 비용 삭감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미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아이폰의 점유율은 지난해 2위(15%)였으나 지난 4~6월에는 중국의 화웨이(華爲)에 추월당해 3위(10%)로 떨어졌다. 아울러 트럼프 행정부가 12월 15일부터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중국산 수입품에 아이폰도 포함돼있다. 아이폰에 10%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내 수요가 600~800만대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아이폰 제조 비용에서 OLED 디스플레이가 30% 가까이 차지한다.

닛케이는 업계 관계자를 인용, “애플이 BOE 제품 채용으로 10%의 관세에 상당하는 비용 절감의 대부분을 달성하려는 의도”라는 견해가 있다며 삼성에 가격 인하를 촉구하는 효과를 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트럼프 행정부가 미 민간기업에 대해 조달금지를 요구하는 중국 업체 제품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어 애플의 BOE 디스플레이 채용에는 위험도 따른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미 경제매체 CNBC방송도 “애플이 미·중 무역전쟁이 자사 사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 경고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 업체를 공급자로 선정하는 것은 놀라운 조치”라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BOE의 대주주는 중국 베이징(北京)시의 정부계 조직 등이라며 애플용 OLED 디스플레이 공급 거점 후보인 쓰촨(四川)성 몐양(綿陽)공장에 대한 투자액 약 7000억엔(7조9000억원) 중 BOE 부담은 10% 정도이고, 대부분은 정부계 조직 등이 출연한 것이 저가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요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