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서울 재건축 3주 만에 반등, 서울 재건축 아파트 0.04%↑

서울 재건축 3주 만에 반등, 서울 재건축 아파트 0.04%↑

기사승인 2019. 09. 07.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추석 앞두고 거래는 소강상태
9월2주 변동율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이 3주 만에 반등했다.

부동산114(www.r114.com)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0.05% 올라 지난주와 동일한 변동률을 기록했다. 재건축이 0.04% 오르면서 3주만에 상승 전환했고, 일반 아파트는 0.05% 올랐다.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3%, 0.02% 올랐다.

분양가상한제 확대 적용 시점에 대한 정부 부처간 이견이 나타난데다 소급적용 유예 등이 언급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8월 상한제 발표 후 하락세였던 강동구 둔촌주공,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등 강남권 주요 재건축 단지들이 빠졌던 가격을 회복하면서 가격 상승세를 주도했다. 일반 아파트 시장은 신축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으나 매수자들이 저렴한 매물만 기다리고 있어 거래는 소강상태다.

◇매매
서울은 시세보다 저렴한 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어지는 가운데 △강동(0.31%) △금천(0.18%) △송파(0.14%) △구로(0.12%) △노원(0.07%) △서대문(0.05%) 순으로 올랐다. 강동은 고덕동 래미안힐스테이트와 암사동 롯데캐슬퍼스트, 선사현대가 1500만-4500만원 올랐다.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는 분양가상한제 확대 적용시기가 미뤄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500만원 올랐다. 반면 ▼영등포(-0.03%)는 재건축 사업 추진이 부진한 여의도동 공작, 은하가 1000만-4000만원 하향 조정됐다.

신도시는 △분당(0.10%) △위례(0.05%) △광교(0.04%) △평촌(0.02%) △판교(0.02%)가 올랐고 ▼산본(-0.06%)은 하락했다. 분당은 정자동 정든동아, 분당동 장안건영, 서현동 시범삼성·한신 등이 500만-2000만원 올랐다.

경기·인천은 △성남(0.14%) △부천(0.09%) △용인(0.06%) △수원(0.05%) △안양(0.05%) △의정부(0.04%) 등이 올랐다. 성남은 주변 재개발 호재로 중앙동 중앙동힐스테이트1·2차가 500만원 올랐다. 부천은 상동 다정한마을쌍용, 동남이 1000만-1200만원 올랐다. 용인은 입주연차가 짧은 구갈동 힐스테이트기흥, 기흥역지웰푸르지오, 역북동 골드클래스용인역북이 1000만-1500만원 상승했다. 반면 입주물량이 많은 ▼평택(-0.03%) ▼시흥(-0.03%) 등은 하락했다.

◇ 전세
서울 전세가격은 가을 이사철을 맞아 △금천(0.09%) △마포(0.09%) △강동(0.08%) △노원(0.05%) △서초(0.04%) △양천(0.03%) 순으로 올랐다. 금천은 가산동 두산위브가 250만-750만원 올랐고, 마포는 공덕동 래미안공덕1차와 상암동 월드컵파크2단지가 1000만-4000만원 올랐다. 강동은 고덕동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와 명일동 삼익그린2차가 1500만-2000만원 올랐다. 노원은 중계동 중앙하이츠, 양지대림2차, 한화꿈에그린 등이 500만-2000만원, 서초는 반포동 반포자이가 2500만원 상승했다. 양천은 신정동 목동파크자이와 목동신시가지9단지가 500만-1000만원 올랐다. 반면 ▼강북(-0.09%)은 번동 솔그린, 해모로가 500만-1000만원 하락했다.

신도시는 △위례(0.09%) △분당(0.07%) △동탄(0.04%) △평촌(0.03%)이 올랐다. 위례는 매물 품귀가 나타난 학암동 위례롯데캐슬이 1500만원 올랐다. 반면 ▼산본(-0.05%), ▼판교(-0.01%)는 전주에 이어 내림세를 이어갔다.

경기·인천은 △성남(0.12%) △의정부(0.11%) △안양(0.08%) △의왕(0.08%) △김포(0.05%) △부천(0.04%)등이 올랐다. 반면 ▼구리(-0.11%) ▼시흥(-0.06%) ▼군포(-0.05%) 등은 떨어졌다.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확대 발표 직후 하향 조정됐던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이번주 들어 반등했지만, 상승세가 이어질지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분양가상한제 확대 적용 시기와 지역이 확정되지 않아 시장에 불확실성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여 수석연구원은 “전세시장은 가을 이사철 수요가 움직이면서 기반시설과 교육여건이 양호한 지역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는 모습”이라며 “다만 주변 입주물량이 많은 수도권 지역에서는 국지적인 전세가격 조정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