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칼럼] 국립민속박물관 세종 이전은 ‘문화정책 역주행’

[칼럼] 국립민속박물관 세종 이전은 ‘문화정책 역주행’

기사승인 2019. 10. 17. 14:2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박광무 문화정책학 박사
박광무 문화정책학 박사·전 문화관광정책연구원장·전 문체부 문화정책국장
서울의 관광명소 1번지인 경복궁 내 국립민속박물관은 1993년 2월 개관 이후 연간 300만 명이 방문하고 외국인 관광객이 150만 명에 이르는 한국 문화 관광의 관문이다. 2031년 경복궁 복원계획에 맞추어 용산 핵심지역으로 이전 건립은 김대중 대통령 등 4명의 대통령과 12명의 문화부 장관의 결심을 거친 후 기획재정부와 예산 협의를 마친 국책사업이다. 서울과 경기·인천·강원에 거주하는 2400만명 국민의 문화쉼터인 국립민속박물관의 세종시 이전은 헌법상 행복추구권과 문화기본법상의 국민 문화권 신장과 박물관 미술관 진흥법 제10조를 정면으로 위배한 ‘정책 역주행’이다. 노를 저어 강을 건너는 게 아니라 산으로 가는 문화정책은 동서고금에도 없다.

낙후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사례는 국내외적으로 적지 않다. 가령 미국 플로리다 주정부는 플로리다 내의 외진 작은 도시에 수도 탈라하시를 두어서 그 지역을 활성화하는 방편으로 활용한 바 있다. 만약 국립민속박물관을 정치적 판단으로 세종시에 두어야 한다면 세종시 <국립어린이민속인류학박물관>으로 건립하여 운영함이 국민 대다수를 위한 위민정책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을 세종시로 이전하는 것은 마치 미국의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을 어느 작은 도시로 몽땅 이전하는 논리와 같다. 이와 같은 일은 5천년 문화중심 국가, 김구 선생이 평생 갈망했던 문화력이 강한 국가의 꿈을 키웠던 한국에서 일어나서는 안 된다.

국가의 대표적 문화공간은 국민 다수가 밀집한 서울의 중심에 위치함이 필수다. 따라서 서울 문화의 중심 종로, 송현동 대한항공 부지와 용산 삼각지역 일대는 10년 전부터 박물관 단지 (Museum Complex)로 기획·구상되어 왔다. 한국의 대표적 문화시설인 국립민속박물관·국립극장·현대미술관 등은 지속적으로 지역 분관을 설치하여 국민행복과 문화향수의 확산이라는 적극적 문화정책을 펴나가야 한다.

국립민속박물관 건립은 강북의 문화의 전당·생명터·문화공간으로 본질상 국민·시민·주민이 일상 속에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보편적 문화권 보장차원에서 조성, 운영되어야 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문화부와 서울시가 6대4의 비율로 송현동 대한항공 부지를 구입하자는 기자회견을 하지 않았는가? 이 기본적인 논리를 무시한 세종 이전 정책은 심각한 정책 오류로 기록될 것이고, 엄청난 문화 퇴행을 가져올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의 발전적 비전을 제시한다면, 국민 전체에게 가장 폭넓은 문화향유권을 채워줄 수 있는 종로구 송현동 대한항공 부지와 지하철역 5분 이내의 용산공원「핵심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이와 더불어 세종시의 문화공간 확충은 젊은 세종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국립어린이민속인류학박물관> 세종시 분관 또는 한국 최초 세종시 세계문화박물관으로 조성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어린이·청소년과 학부모가 행복문화를 함께 나누는 세계화 문화 소통정책 실천은 합리적이고 미래지향적 국민 행복을 주는 문재인 정부의 창조적 문화복지 정책이다. 지금까지 진행된 공정한 논의가 무시된 채 시간에 쫓겨 심사숙고를 외면하며 권한·책임도 없는 국정기획위가 과욕으로 저지른 눈앞의 소리(小利)를 좇는다면 그것은 곧 촛불의 의지를 꺾는 일이다. 문화가 아름다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 애쓰는 우리의 상식이 소통되어야 한다. 나라다운 나라는 문화의 저력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