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광양, ‘은퇴자 활력도시 모델’구축...新중년지원으로 인구 뒷받침

광양, ‘은퇴자 활력도시 모델’구축...新중년지원으로 인구 뒷받침

기사승인 2019. 10. 23. 10:4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재취업, 사회공헌, 귀농.귀촌, 창업 등 4개 분야 42개 사업
광양시청 전경
전남 광양시 청사 전경.
전남 광양시가 ‘신중년’이라 불리는 5060세대의 사회활동 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해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에서 계속 거주케해 지역 인구유출까지 예방한다는 계획이다.

23일 광양시에 따르면 신중년에 대한 재취업 등 4개분야 42개 사업을 발굴해 새로운 사회참여활동기회를 통해 지역은퇴자의 인구유출 예방효과를 마련했다.

시는 이를 위해 지역의 산업 특성과 인구구조를 반영한 대응책 마련했다. 1982년 이후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건립되면서 취업했던 직원들이 은퇴시기와 맞물려 2030년까지 3600여 명의 퇴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정책 수혜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올해 3월 산업현장에서 일하고 있거나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250명이 새로운 일자리와 재능 기부 등에 가장 관심이 많았고. 재취업의 가장 큰 걸림돌로 취업정보 부족(37%)과 적은 일자리(32%)를 꼽았으며, 일자리가 있다면 임금과 근무 기간 등은 어느 정도 양보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광양시는 신중년의 요구사항과 정부 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은퇴자 활력도시 모델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신중년의 주요 관심 분야인 재취업, 사회공헌 활동 이외에 귀농·귀촌과 창업을 추가하여 4개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해 가고 있다.

◇분야별 42개 신규시책 발굴 및 284명 사회참여 활동 기회 제공

광양시는 올해 3월 ‘은퇴자 활력도시 모델 구축 기본계획’ 후속 조치로 재취업, 사회공헌, 귀농·귀촌, 창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42개의 구체적인 지원 사업을 발굴했다. 발굴된 42개 사업 중 올해 25개의 사업이 추진돼 재취업, 봉사활동 등으로 총 284명의 신중년이 새로운 사회참여 활동 기회를 얻게 됐다.

신중년의 관심이 제일 높은 재취업 분야에서는 가장 많은 15개의 사업을 발굴했다. 새로운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재교육과 취업 알선을 지원하는 ‘건강·충효인성 지도사 양성’,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양성’, ‘은퇴자 맞춤형 정보화 교육’ 등과 경력을 즉시 일자리와 연계시킬 수 있는 ‘신중년 경력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 ‘산림사업 일자리 발전소’ 등이다. 이러한 사업들을 통해 신중년 163명이 교육을 받았고 56명이 새로운 일자리를 얻었다.
이밖에도 사회공헌 활동 분야와 귀농·귀촌 분야에 정착 할 수 있도록 각종 현장실습교육지원과 기술교육을 실시해 정착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 TF 운영, 통합지원 센터 설치를 통해 광양시 은퇴자 활력모델 구축

광양시는 은퇴자 지원 사업을 상시적인 업무로 정착시켜 시의 인구 정책을 뒷받침하는 핵심축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으로 우선 재취업, 사회공헌, 귀농·귀촌, 창업 등 4개 분야와 관련된 부서를 중심으로 내년부터 ‘광양시 은퇴자 활력모델 구축 TF’를 운영하기로 했다.

광양시 은퇴자 활력모델 구축 TF는 자유로운 업무 협의와 소통을 위해 담당 팀장과 실무자 위주로 구성해 운영하고, 4개 분야별 신규 사업 발굴과 숙의 과정을 통해 완성도 높은 사업을 만드는 것이 주요 역할이다.

또 신중년의 경험과 청년의 아이디어를 결합한 세대융합형 창업을 장려하고 신중년 창업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한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 창업자를 집중 지원하고 타 지역에서 이주한 사람에게 집중되어 있는 귀농·귀촌 지원 사업은 지역 내 시민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밖에도 신중년 지원 정책의 종합 플랫폼으로써 교육·상담, 일자리 매칭, 창업 컨설팅, 영농기술 교육 등을 통합적으로 추진하는 ‘신중년 일자리지원센터’를 2020년말까지 건립할 계획이다.

임채기 전략정책담당관은 “초저출산과 기대수명 연장으로 인구 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신중년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에서 65세 정년 연장에 대해 사회적 논의를 시작한 것을 보면 신중년의 사회참여 기간과 활동 영역의 확장이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 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의 신중년이 은퇴 이후에도 경제적 문제로 고민하지 않고 가치 있는 노후 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지역 특성에 맞는 지원체계를 만들어 가는 것이 신중년 지원 정책의 중요한 목표다”라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