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화재 사망자 10명중 4명은 65세 이상 노인

화재 사망자 10명중 4명은 65세 이상 노인

기사승인 2020. 01. 29. 15:0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노인 단독가구 증가 및 신체질환 영향
고령화 시대 맞아 안전취약가구 대책 필요
clip20200129150807
화재시 인명피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계층은 신체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노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재 사망자의 1/4은 수면 중 화재로 발생해 음주나 장애보다 수면이 화재 인지에 미치는 악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작년 한해 발생한 4만102건의 화재를 분석한 결과 총 2515명의 인명피해가 있었으며 이 중 285명이 사망했다고 29일 밝혔다. 사망자 285명의 연령을 분석한 결과 65세이상 노인의 사망비율이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18년에도 화재 사망자 중 노인의 비율이 36.3%(369명 중 134명)에 달해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또한 사망자의 주요한 인적상황요인은 수면 중 72명, 음주상태 38명, 지체장애 14명, 정신장애 8명, 약물복용상태 6명, 뇌병변장애 3명, 청각장애 3명 등으로 음주·장애보다 오히려 수면이 화재시 대피를 더 늦게 만드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망원인은 연기·유독가스흡입·화상 등 복합적 요인이 41.8%(11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연기·유독가스흡입 23.9%(68명), 화상 13.0%(37명)순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발생 장소는 주거시설이 55.8%(159명)로 가장 많았으며 자동차 14.4%(41명), 임야 6.0%(17명), 공장·창고 5.3%(15명) 순이었다. 65세 이상 노인층만 구분해서 보면 주거시설이 62.0%(75명), 임야 10.7%(13명), 자동차 7.4%(9명), 의료복지시설 5.8%(7명) 순으로 나타나 주거시설에서 노인의 화재사망자 비율이 다른 연령층과 비교할 때 더욱 높게 나타났다.

소방청은 이 결과에 대해 “노인의 경우 배우자의 사망, 자녀의 독립 등으로 인해 단독가구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신체질환이 있는 경우 대피가 지체될 수 있어 화재에 더 취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소방청은 이에 따라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전반적인 소방안전 실태를 분석하고 안전취약자 거주 또는 보호시설에 대한 화재안전관리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각종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