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공공기관·언론 사용 외국어표현 국민이해도 낮아 “평균 61.8점”

공공기관·언론 사용 외국어표현 국민이해도 낮아 “평균 61.8점”

기사승인 2020. 03. 23. 12:0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문체부 '외국어표현에 대한 일반국민 인식조사' 결과 발표
ㅇ
외국어 표현에 대한 일반국민 인식조사./제공=문화체육관광부
정부나 공공기관, 언론에서 쓰는 외국어 표현에 대한 국민 이해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23일 문화체육관광부가 공개한 ‘외국어 표현에 대한 일반국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어 표현 3500개에 대한 국민 이해도를 측정한 결과 100점 만점에 평균 61.8점으로 조사됐다.

60대 이하는 66.9점이었으나 70세 이상은 28.4점으로 세대 간 외국어 표현에 대한 이해도 차이가 컸다. 또한 3500개 외국어 표현 중 응답자 60% 이상이 이해하는 건 1080개(30.8%)에 불과했다.

세대별로 보면 60대 이하에서 60% 이상이 이해하는 단어는 1378개(39.4%)인 반면 70세 이상에선 60% 이상이 이해하는 단어가 242개(6.9%)뿐이었다. QR코드, 팝업창, 키워드, 모바일앱, 패스워드, 스쿨존, 노키즈존 등 346개 비교적 쉬운 외국어 표현조차 60대 이하가 이해하기 쉽다고 응답한 비율과 70세 이상이 이해하기 쉽다고 응답한 비율이 단어마다 50% 이상 차이가 났다.

이러한 이해도 격차는 특히 정보통신 관련 단어에서 두드러졌다. 루저, 리워드, 스트리밍, 리스펙트, 스킬, 메디컬, 3D 등 1245개 표현에 대해 이해하기 쉽다고 답한 70세 이상 응답자는 10%를 밑돌았다.

이번 조사는 문체부와 ㈔한글문화연대가 1월 29일~2월 13일 서울 등 전국 16개 지역 14~79세 국민 1만1074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정부 보도자료나 언론 기사 등에 사용된 외국어 표현 3500개에 대한 이해도를 온라인(10~60대)과 개별면접(70대)을 통해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일상에서 외국어나 외국 문자 등 외국어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응답이 74%였으며,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36.1%에 그쳤다. 연령이 높을수록 외국어 표현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체부는 “코로나19 사태처럼 사회적 소통이 중요한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정부와 언론의 쉬운 우리말 사용 노력이 절실하다”며 “코호트 격리, 드라이브 스루 등 어려운 외국어를 계속 사용한다면 감염병에 가장 취약한 고령층이 정보에서 소외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정부나 지자체의 보도자료, 보고서 등에 어려운 외국어 사용을 줄여나가도록 평가와 홍보를 강화하고, 언론 기사 제목 등에 어려운 외국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지속해서 권유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