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SKC, 수입 의존 반도체 소재… 430억원 투자해 국산화 기여

SKC, 수입 의존 반도체 소재… 430억원 투자해 국산화 기여

기사승인 2020. 03. 26. 10:5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하이엔드급 ‘블랭크 마스크’ 시제품 생산 본격화
진입장벽 높은 시장 진입… 이르면 연내 상업화
SKC 블랭크 마스크
SKC 구성원이 반도체 노광공정 핵심소재인 블랭크 마스크의 시제품을 검사하고 있다./제공=SKC
SKC가 반도체 노광공정 핵심소재로 쓰이는 블랭크 마스크 하이엔드급 제품의 국산화에 나섰다. 노광공정이란 빛을 이용해 실리콘 웨이퍼에 전자 회로를 새기는 공정을 뜻한다. SKC가 국산화에 나선 블랭크 마스크는 반도체 웨이퍼에 전자회로 패턴을 새길 때 쓰이는 핵심소재로, 이중 하이엔드급 블랭크 마스크는 수입에 의존해왔다.

SKC는 최근 충남 천안 하이엔드급 블랭크 마스크 공장에서 고객사 인증용 시제품 생산을 본격화했다고 26일 밝혔다. 약 430억원을 투자해 지난해 4월 공장 건설에 착수한 SKC는 지난해 12월 완공하고 양산 준비를 해왔다. 고객사 인증을 거쳐 이르면 올해 상업화에 나서는 것이 목표다.

공장은 SKC 하이테크앤마케팅 천안공장 내 여유 부지에 자리잡고 있다. SKC는 이곳을 반도체 소재를 생산하는 SKC 반도체 소재 클러스터로 조성할 계획이다. SKC는 천안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50% 가량인 반도체 소재 국산화율을 높이는 데 기여해나갈 계획이다.

블랭크 마스크는 반도체 웨이퍼에 회로를 새길 때 사용하는 포토 마스크의 원재료다. 반도체 웨이퍼 위에 포토 마스크를 놓고 빛을 쏘면 빛이 통과한 부분에 화학반응이 일어나 회로가 된다.

블랭크 마스크 시장 규모는 매년 커지고 있다. 반도체 제조사가 적극적으로 증설에 나서면서 수요가 늘고 있고, 공정이 미세화되면서 공정별 사용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자체 조사에 따르면 2018년 8000억원 수준이었던 세계 시장 규모는 매년 7%씩 성장해 2025년 1조3000억원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중 95% 가량을 일본의 글로벌 업체 2개사가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하이엔드급 시장은 일본 기업이 99% 이상을 차지하는 등 진입장벽이 높다. 우리나라도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하이엔드급 블랭크 마스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SKC는 그동안 쌓아온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업에 진출했다. 블랭크 마스크는 금속막과 감광막을 나노미터 단위의 얇은 두께로 쿼츠에 도포해야 한다. 하이엔드급은 더 얇고 여러 번 균일하게 도포해야 한다. SKC는 이같은 공정에 필요한 진공증착(sputtering) 기술과 초청정 무진 관리 경험이 있다.

SKC 관계자는 “수년 간 비즈니스 모델(BM) 혁신을 추진해온 SKC는 1단계 혁신을 마치고 반도체·모빌리티·친환경·디스플레이 사업을 중심으로 2단계 BM혁신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천안에 마련한 SKC 반도체 소재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반도체 사업을 고도화하고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KC 천안 공장
SKC가 충남 천안 SKC 하이테크앤마케팅 천안공장에 건설한 블랭크 마스크 공장 전경./제공=SKC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