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코로나19로 글로벌 현금사용↓ 비대면결제↑…디지털 소외 우려

코로나19로 글로벌 현금사용↓ 비대면결제↑…디지털 소외 우려

기사승인 2020. 04. 05.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현금 통한 바이러스 감염 우려
ATM 폐쇄로 현금 접근성도 ↓
온라인 쇼핑 늘며 비대면 결제 확산
디지털 양극화에 소외계층 대책 필요
clip20200405105826
자료제공=/한국은행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전세계적으로 현금 사용이 감소하고 비대면·비접촉 결제가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이 디지털 화폐 발행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코로나19 봉쇄 정책으로 디지털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어 디지털 소외 계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코로나19 확산이 주요국 현금, 비대면·비접촉결제 등의 지급수단에 미치는 영향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현금 사용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 사용에 따른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과 재택근무 등 사회적 거리두기, 영업점 봉쇄 등이 현금 사용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영국의 ATM네트워크 운영기관인 LINK는 최근 영국 내 현금사용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또 아마존 인디아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영국의 코스타 커피(Costa Coffee) 등 일부 관광지 및 상점은 현금결제를 금지하기도 했다.

시중은행의 지점 폐쇄와 ATM 사용 제한 등으로 인해 현금에 대한 접근성도 떨어지고 있다. JP모건체이스 은행, 캐나다 데자르뎅 은행 등 주요국 대형은행들이 일부 지점을 폐쇄하고 대면 영업을 최소화하는 등의 조치를 단행하고 있다. 러시아 중앙은행도 시중은행에 ATM서비스 제한을 권고하고 있다.

반면 온라인 소비 증가 등으로 비대면·비접촉결제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월 13개 온라인 유통업체가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전달 대비 3배 이상 확대됐다.

온라인업체의 결제금액도 증가 추세다. 쿠팡의 경우 1월 결제금액이 1조 4400억원에서 2월 1조 6300억원으로 1900억원 가량 늘어났으며, 이베이코리아도 1월 1조 2600억원에서 2월 1조 4400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11번가도 7300억원에서 8200억원으로, SSG닷컴은 3900억원에서 4500억원으로 늘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코로나19 발생 이후 소비자의 30%가 비접촉 지급수단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70%는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이를 계속 사용할 예정이라고 설문에 응답했다. 독일의 경우도 전체 카드 사용액 중 비대면 결제 비중이 50%를 넘어, 코로나19 이전(35%)보다 크게 확대된 모습이다. 이에 따라 많은 나라들이 최근 비접촉결제 한도를 증액하며 비대면결제 이용을 유도하고 있다.

일부 국가의 경우 기존의 지급결제서비스 외에도 모바일결제 앱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다. 중국 알리페이는 가입자들의 결제내역을 통해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바이러스 감염지역 방문 여부 등을 토대로 건강상태를 식별·관리하는 ‘알리페이 헬스 코드’를 도입했다. 중국 칭다오시는 소비 증진을 위해 정부가 지급하는 바우처를 위챗페이를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도 중앙정부와 일부 지자체가 지역사랑상품권을 통해 재난 긴급생활비를 지원할 계획인데, 지역사랑상품권이 모바일로 발급되는 추세다. 올해 도입된 서울사랑상품권은 모바일 방식으로만 발행되고 있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이 디지털 화폐 및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 발행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경기가 침체될 경우 디지털 혁신이 지연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또한 디지털 소외 계층에 대한 우려도 확산되고 있다. 최근 국제결제은행(BIS)는 현금 사용이 어려워질 경우 모바일 등 디지털 지급수단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노년층 등 취약계층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호주의 30여개 지역단체는 코로나19에 따른 봉쇄 정책으로 디지털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면서, 정부에 이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기도 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