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4·19혁명 60주년 맞아 학생부상자명단·김주열사진 문화재 된다

4·19혁명 60주년 맞아 학생부상자명단·김주열사진 문화재 된다

기사승인 2020. 04. 09. 11:0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ㅇ
4·19 혁명 참여 고려대 학생 부상자 명단./제공=문화재청
문화재청은 민주화를 이뤄낸 역사적 현장을 기억하고 시사점을 짚어보기 위해 ‘4·19 혁명 문화유산’을 집중 발굴해 민주화 문화유산으로는 처음으로 국가등록문화재 등록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앞서 지자체와 유관기관 추천을 통해 4·19 혁명 관련 유물 179건을 발굴했고 자문회의를 거쳐 7건을 등록 우선 추진 대상으로 정했다. 그중 ‘4·19 혁명 참여 고려대 학생 부상자 명단’,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참여자 구술 조사서)’,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계엄포고문)는 상반기에 등록을 추진한다.

‘4·19 혁명 참여 고려대 학생 부상자 명단’은 4·19 혁명 전날인 4월 18일 고려대 학생 시위에서 다친 사람 이름을 정리했다. 초안 2종과 이를 보완해 완성한 정서본 1종으로 구성된다. 여러 사람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첫 번째 초안에는 부상 장소와 피해 정도가 상세히 기록됐다. 부상 장소는 안암동, 천일극장 앞, 국회의사당, 종로3가, 동대문경찰서 앞 등 다양하다. 학생 중에는 “천일백화점 근처에서 깡패의 몽둥이로 후두부를 맞고 失神(실신)”한 이도 있었다. 또 다른 초안은 한 사람이 쓴 것으로 판단됐다.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참여자 구술 조사서)’는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4학년 학생들이 주도해 결성한 ‘4월혁명연구반’이 남긴 구술 기록 자료다. 4·19 데모 목격자와 인근 주민 조사서, 교수 데모 실태조사서, 사후 수습사항 조사서, 연행자 조사서 등 9종으로 이뤄졌다. 작성 지역은 서울, 대구·부산·마산이며, 조사자는 정치에 대한 관심과 심정 등을 물었다. 특히 데모 사항 조사서에는 시위 참여 동기와 시간·장소는 물론 해산 시까지 충돌 과정도 기술됐다. 서울뿐만 아니라 대구 2·28, 마산 3·15 시위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현존 유일 구술 자료로 알려졌다.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계엄포고문)’도 4월혁명연구반이 기관에 의뢰해 수집한 자료다. 4·19 혁명 이후 계엄사령관은 각종 시책과 명령을 발표했는데, 비상계엄포고문 12종을 비롯해 계엄 선포 1종, 훈시문 1종, 공고문 3종, 담화문 2종 등 19종이 포함됐다. 자료를 보면 4월 19일 오후 5시에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에 비상계엄이 선포됐고, 이어 집회 해산·등교 중지·통행 금지·언론과 출판 통제·유언비어 유포 금지 공고문이 발표됐다.

나머지 우선 등록 추진 대상은 ‘부산일보 허종 기자가 촬영한 김주열 열사 사진’ ‘자유당 부정선거 자료’ ‘이승만 사임서’ ‘마산 지역 학생 일기’, 동성고 이병태 학생 일기인 ‘내가 겪은 4·19 데모’다.

김주열은 마산 중앙부두 앞바다에서 오른쪽 눈에 최루탄이 박힌 참혹한 모습으로 숨진 채 떠올랐는데, 1960년 4월 11일 허종 기자가 시신을 촬영해 보도했다. 이 사진은 4·19 혁명을 촉발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문화재청은 등록 추진 문화재에 대해 지자체가 등록을 신청하면 전문가 현장조사와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 여부를 확정한다. 문화재 등록 외에도 문화재 보존처리와 복원 정비를 지원하고, 관련 콘텐츠를 제작해 온라인을 통해 홍보한다. 또 현장 답사 프로그램도 운영할 방침이다.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면 연세대와 함께 4월혁명연구반 수집 자료를 최초로 공개하는 특별전과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