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연체·부실 경고등 켜진 P2P금융...“리스크 관리 강화해야”

연체·부실 경고등 켜진 P2P금융...“리스크 관리 강화해야”

기사승인 2017. 09. 22. 15:3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001
P2P금융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올 상반기 ‘연체율’과 ‘부실률’이 급등하며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개인신용 대출 비중이 높은 P2P업체의 연체 및 부실 발생이 늘고 있다. 문제는 정부의 대출 조이기에 P2P업체를 찾는 수요가 더 커질 수 있어 대규모 피해로 번질 수 있다는 점이다.

22일 김유림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 ‘최근 P2P금융의 급성장과 시사점’에 따르면 연체 및 부실이 발생한 P2P업체는 작년 11월 7개에서 올해 8월 15개로 2배 이상 늘었다.

평균 연체율은 같은 기간 0.35%에서 0.85%로 0.5%포인트 급증했다. 평균 부실률은 0.22%에서 0.34%로 0.12%포인트 늘었다.

현재 연체 또는 부실이 발생한 P2P업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개인신용에 대한 대출취급이 높은 경향이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달 말 기준 연체가 발생하지 않은 P2P업체의 개인신용에 대한 대출취급 비중은 평균 1.1%인 반면, 연체발생 P2P업체의 개인 대출취급 비중은 평균 34.7%인 것으로 격차가 컸다.

부실율과의 상관관계도 높았다. 부실이 발행한 P2P업체의 개인신용 대출취급 비중은 28.1%로 부실이 발행하지 않은 업체(5.3%)의 5배가 넘었다.

김유림 연구원은 “개인신용대출의 경우 은행권보다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대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체·부실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며 “대출이 어려워지며 부동산 담보대출에 대한 수요가 커질 수 있는데, 금리 상승·부동산경기 하락과 맞물릴 경우 부실률이 급격히 오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전체 대출액의 60%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대한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김 연구원은 “P2P업체의 업력이 짧아 부동산담보·부동산PF 대출 만기가 도래하지 않았지만,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담보 부동산의 가치 하락하거나 건축물 준공 후 미분양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연체 또는 부실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투자자와 업체 자체의 리스크 관리가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금융당국의 선제적인 관리도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김 연구원은 “리스크 관리 노력과 함께 개별 업체의 사업 노하우와 전문성이 결합된 새로운 사업모델 개척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