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취재뒷담화]결국 우리금융 ‘회장-행장’ 겸직안 수용한 금융당국

[취재뒷담화]결국 우리금융 ‘회장-행장’ 겸직안 수용한 금융당국

기사승인 2018. 11. 12.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noname01
4년만에 다시 지주사 체제로 복귀하는 우리은행이 행장-회장 겸직 체제를 확정했습니다. 하지만 겸직 체제 확정까지의 과정은 결코 순탄치 않았습니다. 바로 우리은행의 최대주주인 정부의 영향력 때문입니다.

정부는 2016년 과점주주들에게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고 있던 우리은행 지분을 분산 매각한 뒤에는 경영현안에 그다지 개입하지 않았습니다. 또 이때만 해도 금융당국은 우리은행의 완전한 자율경영을 약속하며 지난해 1월과 11월에 있었던 은행장 선임 과정에서도 전혀 개입하지 않았습니다. 지난 10월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회장 선출과 관련해)주주로서 나름의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할 당시만 해도 원론적인 의미로 해석됐습니다.

하지만 며칠 후 최 위원장이 “회장의 겸임이나 분리 모두 장점이 있는데 우리은행은 은행 비중이 90%가 넘어 처음부터 분리하는 게 맞는지, 겸직한다면 언제까지여야 하는지 이런 부분들을 좀 더 생각해 봐야 한다”고 밝히면서 분위기가 급반전됐습니다. 그러면서 과거 상업·한일은행 출신의 인사들이 자천타천 회장 후보로 거론되거나 ‘금융당국 출신 인사가 회장직에 앉을 것’이라는 소문까지 돌았습니다.

물론 정부는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우리은행의 지분 18.43%를 보유한 최대주주입니다. 당연히 사외이사를 선임할 권리가 있고 우리은행의 의사결정에 관여할 자격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회장 인선에 깊숙이 개입할수록 관치금융 논란은 거세질 수밖에 없습니다. 또 현 정부가 과거 야당시절 각 금융지주 회장 낙하산 인사를 비판한 사례도 수두룩합니다.

결국 정부가 이사회의 행장-회장 겸직안을 수용하면서 논란은 일단락됐습니다. 하지만 이 사태는 우리은행의 완전 민영화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이기도 합니다. 물론 정부는 우리은행에 투입된 공적자금을 온전히 회수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개입이 계속되면 관치금융 논란을 야기할 수밖에 없고 오히려 우리금융지주의 가치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온전한 자금 회수를 위해서라도 주가 부양에 힘쓰는 우리은행의 자율권을 보장해 줘야 할 시기입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