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설] 장기가뭄 예보, 피해 대비에 모든 수단 동원하라

[사설] 장기가뭄 예보, 피해 대비에 모든 수단 동원하라

기사승인 2017. 05. 24. 18:2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올 초부터 시작된 가뭄이 여름철까지 장기화할 전망이라고 한다. 기상청은 최근 '2017년 여름철 기상전망'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6~7월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고 8월은 장마철에 비가 내리지 않아 마른장마 현상이 찾아올 가능성이 있다"고 예보했다. 마른장마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동안 계속됐기 때문에 이제는 우리나라의 여름철 기상패턴이 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올 들어 전국의 강수량은 144.0㎜로 지난 3년간 강수량 145.6~332.1㎜보다 훨씬 밑돌고 있다. 봄이 시작된 3월부터 이달 20일까지 누적강수량도 평년수준(208.3㎜)의 절반인 111.0㎜에 그치고 있다. 특히 모내기철인 5월에는 예년의 3분의 1수준인 74.1㎜의 비가 내려 가뭄현상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전국의 논은 거북등처럼 쩍쩍 갈라져 전국의 모내기 실적이 20%대에 머물고 있다. 주로 빗물에 의존하고 있는 밭작물의 농사도 거의 포기하다시피한 실정이다.
 

현재 가뭄으로 인해 피해가 심한 지역은 서울 경기 강원 충청 등 중부지역과 전남지역이라고 한다. 경기도의 경우 342개 관리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49.5%, 강원도는 59.9%, 충남 10.9~56.6%를 보이고 있다.
 

특단의 대책 없이는 가뭄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는 피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올 들어 강우량이 적을 것이라는 기상예보가 있었기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와 각 시도는 일찌감치 이에 대한 피해예방을 위해 가뭄극복 대책을 준비해 왔었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대책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철저히 점검해 봐야 한다. 그동안 대선의 열풍으로 행정지원 체계에 느슨함이 없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새 정부 출범으로 인해 각 부처의 수장들이 공석중이거나 자리를 떠날 입장이어서 관련 중앙행정부와 기관의 업무공백 장기화도 불가피한 실정이다. 또 청와대는 내각구성으로, 여당은 대선공약 정리로, 야당은 대선패배의 후유증을 겪느라고 피부에 와 닿는 세세한 민생문제 해결에 직접 뛰어들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미 매뉴얼화한 가뭄극복대책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대책이 실현되지 않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지난해 충남도는 장기 가뭄극복을 위해 보령댐과 금강 벽제보를 잇는 도수로를 건설해 현재 매일 11만 5000톤씩의 물을 끌어와 가뭄피해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한다. 정부와 각 지자체는 정국 불안정기를 맞아 이와 같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가뭄극복을 해주기 바란다. 그것이 곧 민생정치고 민생행정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