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설] 출생아 역대 최저기록, 종합대책 재점검해야

[사설] 출생아 역대 최저기록, 종합대책 재점검해야

기사승인 2017. 05. 25. 18:4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통계청은 24일 '3월 인구동향'을 발표하고 1분기중 출생아수가 9만88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1만2600명)보다 12.3%나 줄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분기별 출생아수는 역대 최저치이자 지난해 4분기(8만9100명)에 이어 사상처음 2분기 연속 10만명 이하를 기록한 것이다.
 
이 같은 이유는 결혼은 줄어들고 이혼은 늘어나기 때문이란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이 기간 중 결혼은 전년 같은 기간대비 3.6% 감소한 6만8700건이었고 이혼은 4.7% 증가한 2만6500건에 달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탓에 주 출산 연령의 여성이 매년 줄어들어 10년 동안 무려 105만명이 감소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된다. 이로 인해 지난해에는 출생아수가 40만6300명에 그치기도 했다.
 
문제는 이러한 저출산현상이 고착됨으로써 매년 신생아수가 40만명을 밑돌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통계청도 1분기 중 출산율이 높은 것을 감안하면 올해 출생아수는 이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경제협력개발기구 통계를 인용해 25일 펴낸 '노인부양부담의 증가 및 정책'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한국의 노인 부양비율은 인구 100명당 19.6명이라고 했다. 대체적으로 국민 5명이 노인 2명을 부양하는 셈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평균 27.6명에 비해서는 아직 낮다. 그러나 한국은 기대수명의 증가와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의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다. 201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3.1%에 이르러 이미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한국은 2018~2019년에 14%가 넘는 고령사회 시대에, 2026년에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인구는 줄어들고 부양할 노인은 늘어나는 구조다. 청년일자리도 중요하지만 국가가 이들 노인을 모두 보살피지 못한다면 청년일자리 못지않게 노인 일자리 만들기도 중요한 이유다. 이미 그런 시대는 시작되고 있다. 50~60년대 베이비붐 세대의 노년층 진입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어차피 국가의 복지 혜택망으로 이들 노인을 모두 거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노인 일자리 확대가 그래서 중요한 것이다.
 
보건복지부 통계를 보면 지난해 전국에서 제공된 노인일자리는 42만9726개였다. 이 가운데 67.6%인 29만625개가 공공기관에서 제공한 사회 공익봉사활동이었다. 나머지는 상품배달, 소규모매장관리, 노노(老老)케어 등 단순일자리였다. 민간부문의 노인 일자리는 미미한 형편이다.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에 따른 종합대책을 재점검해야 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