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설] 선제대응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 막아야

[사설] 선제대응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 막아야

기사승인 2019. 06. 02. 18:3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치사율 100%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북한에 상륙하자 정부가 국내 유입을 우려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 북한은 지난 1일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자강도의 협동농장에서 ASF가 발병, 99마리가 폐사 또는 살처분됐다고 통보했다. ASF는 중국에 만연해 있고,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등에서도 발병했다. 자칫 우리나라에까지 번질 우려가 아주 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열어 강화군, 인제군, 파주시, 옹진군, 김포시 등 북한과 인접한 10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방역거점 시설 설치, 멧돼지 포획기구 배포, 양돈 농가 방역 강화 등의 조치를 취했다. 통일부도 ASF 확산 방지를 위한 남북협력 의사를 북측에 전달했다. 북측은 관련 입장을 나중에 알려주겠다며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ASF는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병에 걸린 돼지는 고열, 피부 출혈을 보이다 10일 이내에 폐사한다. ASF가 창궐한 중국에서는 올해 돼지 20%가 살처분됐다. 당국은 ASF가 야생 멧돼지에 의해 남한으로 유입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또 ASF 발생국에서 불법 축산물을 반입하면 최대 천만 원의 과태료를 물릴 정도로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

ASF의 국내 유입을 막으려면 북한과의 협력이 절대적이다. 북한에 ASF가 퍼질 경우 어떤 형태로든 남한에 유입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북한은 우리 측의 제의에 하루라도 빨리 응해 ASF 확산을 차단해야 한다. 방심할 경우 자칫 식량 문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북한이 발병 5일 만에 세계동물기구에 통보했는데 ASF는 이렇게 꾸물댈 사안이 아니다. 당국은 접경지역 양돈 농가의 소독을 철저히 하고, ASF 발생지역 방문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데 현재로서는 최선의 예방책이다. 국내에서 ASF가 발생하면 양돈 농가가 하루아침에 무너지는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접경지역에 멧돼지 개체가 많아 대응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할 수 있는 수단은 다 동원해야 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