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칼럼] 드론·로봇과 함께 꿈꾸는 안전한 사회

[칼럼] 드론·로봇과 함께 꿈꾸는 안전한 사회

기사승인 2018. 05. 16. 07:4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배진환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조정관
배진환 재난안전조정관 (1)
배진환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조정관
2029년 5월 16일 인천 남동공단 내 제조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는 신고가 119상황실로 접수됐다. 동시에 현장에 도착한 무인기(드론)가 고해상도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위성은 사고지점 주변의 광범위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상황실에 제공한다.

구조대원의 현장 진입이 어려운 경우나 2차 피해를 사전 예방하고 긴급한 인명구조·구급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드론과 인공위성의 역할이 진화하고 있다.

특히 지진·산불·태풍·호우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피해가 발생하거나 피해복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영상정보는 수습·복구과정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제조공장에 있던 근로자들은 사고발생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수신하고 함께 제공된 대피경로와 주의사항을 숙지하면서 안전하게 대피한다. 주민대피령은 발령되지 않았지만 공장 인근 주민들에게도 재난문자를 발송하고 도로 전광판에도 안내메시지를 표출한다.

산업현장의 근로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장 정보를 기반으로 평상시 대피요령과 비상대처계획을 마련하고, 사고발생 시 풍향·풍속정보와 사고유형·확산범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피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인근지역 주민들에게도 동일한 수준의 정보를 제공해 사회적 안정과 불필요한 혼란을 방지하도록 한다.

유독가스 속에서 피해자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자, 진입로가 확보되지 않은 여건에서도 관측로봇을 통해 피해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생존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추가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변시설의 안전성을 점검하고 응급복구를 실시한다.

관측로봇은 피해자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하고 피해자에게 구조에 대한 희망과 조치사항을 전달하고, 작업로봇은 임시 진입로를 확보해 응급조치가 가능한 여건을 조성한다. 대형화재·원전사고 현장 같이 구조요원의 투입이 어렵거나 중장비 진입이 제한된 상황에서 응급복구와 인명수색구조 등 긴급 조치를 수행한다.

복잡해진 사회 속에서 과거와는 다른 형태의 각종 재난들은 더 이상 과거 경험과 지식만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앞에서 본 미래의 재난대응 사례처럼 발전된 과학기술을 적극 도입해 활용하는 것이 이런 한계를 넘는 대안이 될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관계부처와 협력해 향후 미래를 준비하는 재난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과제들을 추진해 가고 있다. 특히 이번 종합계획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춰 과학기술을 통한 국민의 안전복지 구현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재난 발생 전에는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해 각종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재난 발생 시에는 드론·무인로봇을 이용 현장 대응능력을 강화한다.

또한 평소 체험하기 힘든 재난을 경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 교육·훈련 콘텐츠를 개발하고, 현장대응 전문인력 양성 및 관련 산업의 육성을 유도한다.

공상과학영화 속 한 장면처럼 평소에는 빅데이터를 통해 취약시설과 위험지역을 분석하고, 재난이 발생하면 드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현장 정보를 수집하고 무인로봇이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재난현장에 투입되는 등 첨단 재난관리체계를 마련해 각종 재난의 두려움에서 해방된 안전한 나라가 도래하는 날을 상상해 본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