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칼럼]유통산업, 미래 지향적·글로벌 정책 마련돼야

[칼럼]유통산업, 미래 지향적·글로벌 정책 마련돼야

기사승인 2019. 05. 29.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이승창교수
이승창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부 교수(한국프랜차이즈학회장, 전 한국유통학회장)
대략 380조원 규모의 국내 소비자시장을 보면 인구구조가 급변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소비자규모가 줄어들거나 저성장이 지속될텐데 지난 2010년과 2012년에 유통산업발전법을 개정하면서 각각 기업형 슈퍼마켓(SSM)과 대형마트에 대한 영업시간제한, 의무휴업일강제, 신규점포개설억제 등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편의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규제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규제위주의 법개정은 유통산업의 진흥을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의 보호를 주목적으로 했다. 즉 자영업자의 비중이 높은 원인 분석과 중장기적 해결방안을 찾는 대신에 대증요법적 정책으로 이용됐다.

한편 지난 10여 년 동안 글로벌시장에서는 4차 산업기술이 유통시장에 융합되면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자율주행차(AV) 등 신기술이 유통인프라로 유입되면서 점포운영의 효율성과 고객경험이 시험과정을 거치면서 급격히 향상되고 있다. 물론 우리 국내시장에서도 간편결제, 개인맞춤형 상품추천, 새벽배송 등의 도입에 따른 신규 비즈니스가 있기는 하지만 그 적용분야가 글로벌유통시장 대비 매우 협소하다. 향후 쇼핑은 온라인과 모바일을 넘어서 ‘무노력 자동쇼핑시대’가 열릴 것인데 이를 대비한 유통의 디지털화 프로세스 작업이 너무 늦어지고 있다.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신규점포의 개설이 어렵고 기존점포의 영업규제가 지속되는 한 유통기업만의 연구개발(R&D) 노력은 무의미 할 수 밖에 없다.

과거 우리나라가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무역에서 얻는 수익원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이었다면 향후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개인 및 기업비즈니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3차 산업의 성장과 수출경쟁력 향상이 절대 필요하다. 2차 제조산업중심에서 3차 산업 즉 서비스비즈니스를 중심으로 국가부흥을 이끈 선진국의 기업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면서 상상속의 신기술을 현실의 유통시장에 접목시도 하면서 부문별 디지털화와 전사적인 통합화를 차곡차곡 진행하고 있다.

또한 온라인유통과 오프라인유통이 서로를 대체하거나 섞을 수 없는 경쟁적 유통수단이라기보다는 각각의 역할이 상호보완적인 의존적 유통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온·오프라인 결합(O2O)의 진화를 겪고 있다. 대표적으로 온라인유통의 최강자인 아마존닷컴은 홀푸드, 아마존서적, 아마존고, 아마존 4스타, 아마존팝업 등을 통해서 오프라인과 온라인간의 보완관계를 파악하면서 데이터를 축척해가고 있다.

반면에 오프라인유통의 최강자인 미국 월마트에서는 지난해 온라인배송과 마켓플레이스의 강화를 통해 e커머스부문 매출이 40% 늘어나면서 전체적으로 마이너스탈출에 성공해 플러스 성장세로 바뀌었다. 월마트는 2022년까지 마켓플레이스의 비중을 50%수준까지 끌어 올릴 기세이다. 이처럼 기존 유통업체의 디지털 중심 생태계로의 전환은 기존점포의 리모델링, 점포이전, 신규출점, e커머스 투자(개발 또는 인수합병) 등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가능하다는 점이다.

전통적으로는 소비자 트래픽(traffic)을 가장 잘 맞이할 수 있는 위치가 유통의 결정요인이었다면 앞으로는 소비관련 데이터 트래픽을 끊임없이 유발하고 이의 수집 분석을 기초로 최적의 브랜드 상품을 적절한 상품구색으로 적합한 진열대에 비치해야 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협업이 최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이들 전과정이 디지털데이터화 돼야 한다. 이같은 미래지향적인 유통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금과 같은 규제중심적이며 반진흥적인 정책을 버리고 ICT를 요체로 하는 혁신적이며 다양한 변신이 가능케 하는 글로벌적인 정책이 더 이상 미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