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자의눈] 중국 사드 보복, 숨죽이기 보다는 대안을 찾을 때

[기자의눈] 중국 사드 보복, 숨죽이기 보다는 대안을 찾을 때

기사승인 2017. 02. 13.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아시아투데이 박병일 기자
박병일 생활과학부 기자
“지금은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사드 보복으로 보는 것은 과장된 부분이 있다.”

국내 화장품 업계가 중국의 화장품 수입금지 조치에 대해 내놓은 답이다. 올해 들어 중국이 한국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있는 가운데 한국산 화장품 수입금지 조치가 지난달과 이달 두번에 걸쳐 알려졌다.

중국 수입금지 품목 리스트에 한국산 화장품이 대거 포함되면서 국내에서는 중국을 기반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K뷰티’ 산업의 위기를 논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왔다.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등 화장품 관련 종목 주가는 곤두박질 쳤다. 국내 경기침체와 정치불안 속에서 그나마 성장세를 유지했던 화장품 업계였기에 이런 불안감은 가중됐다.

그럼에도 업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일관되게 중국 사드보복이라 할 만한 사안이 없다고 일축해 왔다. 한국산 화장품 수입금지 이슈도 중국 수입 기준에 맞지 않았을 뿐 유독 한국제품에 대해 중국정부가 상식 밖의 잣대를 들이댄 것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중국현지 법인들의 직원들도 현 상황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을 전하고 있다.

업계의 속내는 편하지는 않은 듯하다. 중국에 진출해 있는 롯데에 대한 중국정부의 전방위적인 세무조사와 위생점검 조치를 보는 시각은 이런 말과는 다르게 불안감이 녹아 있다.

현지 생산공장을 갖추고 있는 국내 화장품 업계에 대한 중국 정부의 관리감독이 강화될 경우 현지 사업이 차질을 빚는 것은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들에 퍼져 있는 ‘사드 포비아’에서 화장품 업계도 자유롭지 못하다는 의미다.

사드 배치에 대한 정부와 미국의 의지가 변하기 힘들다는 점을 생각하면 사드 보복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될 전망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사드 배치 재논의에 대한 기대도 있지만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것이 중론이다.

지금은 업계가 스스로 두려움보다는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위한 고민이 더 필요한 시기다.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사업포트폴리오에 대해 고민하고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중국 사드 보복이라는 독감이 실제로 찾아왔을 때 큰 피해 없이 넘길 수 있는 효과적인 예방 백신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