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ESS 후폭풍 진화나선 정부, 내달초 ‘재가동’ 총력전

ESS 후폭풍 진화나선 정부, 내달초 ‘재가동’ 총력전

기사승인 2019. 05. 02. 11:0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LG화학·삼성SDI·LS산전, 1분기 영업익 '반토막'
사고원인 조사 '난항'… KTL 통해 실증조사 중
안전기준 강화 및 산업 생태계 육성방안 동시발표
2018073001001447600062861
지난해 전북 군산시에서 발생한 ESS 화재 사진. /제공 = 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6월 에너지저장장치(ESS) 가동과 발주 정상화를 위한 한달 간의 총력전에 들어간다. 그간 수십 차례 화재로 일단 ESS 가동중단을 권고했지만 관련 업체들이 대규모 영업손실을 입고, 해법을 내놓지 못한 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까지 높아지자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하며 진화에 나선 것이다.

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달 초 ESS 화재사고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동시에 안정강화방안과 생태계 육성방안을 내놓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1490개 ESS 사업장 중 약 35%인 522개 사업장 가동이 중단돼 있다. 지난 3월엔 제조사의 자체 가동중단 조치로 절반이 넘는 765개소가 멈춰서기도 했다.

ESS는 남는 전력을 저장해뒀다가 부족할 때 꺼내쓸 수 있는 장치로, 태양광·풍력 등 친환경 발전의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해 주로 활용돼 왔다.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의 수혜를 보며 급성장했지만 지난해 5월부터 지난 1월까지 20여 차례 이상 원인불명의 화재가 발생하자 정부는 지난해말부터 ‘가동중단’을 권고한 상태다.

정부는 멈춰 선 사업장의 재가동을 서두르고 있다. 내달초 사고조사 결과를 발표하자마자 ‘ESS 안전관리위원회’를 통해 사업장별로 안전조치를 권고하고, 이를 이행하면 재가동이 이뤄지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대신 안전조치를 대폭 강화한다. ESS 설치기준을 서둘러 마련하고, KS표준은 5월말, KC인증은 8월말까지 정비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ESS설치 기준 개정 전이라도 신규 발주가 가능토록 절차적 지원도 검토키로 했다.

정부가 조치를 서두르는 이유는 국내 ESS 업계에 미친 파장과 심각성 때문이다. 가동중단 사태가 길어지자 관련 기업들의 올해 수주는 사실상 ‘올스톱’ 됐고, 줄줄이 경영난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최근 LG화학과 삼성SDI·LS산전은 전년동기 대비 반토막 난 1분기 영업 성적표를 내놨다. 이들은 일제히 ESS 부진을 이유로 지목했다. 일각에선 ESS 사고 여파로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에도 차질이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문제 해결 과정은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먼저 명확한 사고 원인을 찾아야 하는데 ESS는 화재 발생 시 전소되는 특성이 있는 데다 다수의 기업과 제품이 관련돼 있어,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 소요가 불가피하다. 갤럭시노트7 발화와 BMW차량 화재사고의 원인조사도 5개월씩 소요됐다.

현재 갤럭시노트7 배터리 화재조사를 수행했던 산업기술시험원(KTL)을 조사위 지원센터로 지정해 자료 수집 및 분석 등을 수행하고 있다. 고창과 정읍시험장에서 실증과정서 실제 화재가 관측돼 정밀 조사·분석에 들어간 상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