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4차 산업혁명 적극 대응 시 2030년 일자리 12만개 늘어나”

“4차 산업혁명 적극 대응 시 2030년 일자리 12만개 늘어나”

기사승인 2018. 03. 08. 17:1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혁신전망
기준전망과 혁신전망의 취업자 수 변화./제공=고용노동부
한국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환경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면 2030년 기준 12만명의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2만명의 일자리가 생로 생기고 80만명의 일자리는 감소하면서 총 172만명의 고용변화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8일 서울 광화문 KT빌딩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2030 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을 보고했다.

이번 인력수요 전망은 올해 처음 실시하는 것으로 지난해 3월부터 국책·민간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관련 통계를 바탕으로 작성했다.

인력수요 전망에 따르면 2030년까지 92만명의 일자리가 늘어난다. 증가 직업군은 정보·통신 전문가, 공학 전문가, 과학기술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직, 의료보조직, 교육 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등이다.

반면 매장 판매직, 운전·운송관련직, 청소경비 단순 노무직 등의 직군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약 80만명 정도의 일자리가 줄어든다.

산업별로 보면 정보통신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전기·전자·기계산업 등 4차 산업혁명 선도산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46만명 정도 증가할 전망이다.

이와 반대로 자동화 등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성 증가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나는 고용감소 산업에서는 34만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감소 산업으로는 도·소매, 숙박·음식업, 운수 공공행정 등이다.

이같은 전망은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제·산업 구조를 개편했을 때라는 전제 하에 나온 것이다.

경제 성장 전망도 정부 주도로 적극적으로 대응했을 시 특별한 대책을 강구했을 때보다 더 높았다.

경제성장률을 보면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했을 때는 연평균 2.9%(2017~2030년)이며,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았을 때는 2.5%로 전망됐다.

고용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은 인구고령화 및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에 따른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산업과 고용, 직업구조 등에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술혁신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규제개혁, 중소기업 연구개발 역량 강화, 벤처기업 지원 확대, 급증하는 수요에 대비한 전문인력 양성, 근로자의 평생직업개발 지원 확대, 이·전직자에 대한 재취업지원서비스 강화를 제안했다.

또한 규제완화, 개인정보보호, 일자리대체 등 4차산업혁명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를 논의·해결하기 위한 노사정위원회 등 사회적 합의 기구의 활성화도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