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칼럼] [장용동 大기자의 이슈진단]아파트 주거서비스 혁신, 지역상생 동력으로 삼아야

[칼럼] [장용동 大기자의 이슈진단]아파트 주거서비스 혁신, 지역상생 동력으로 삼아야

기사승인 2017. 10. 11. 17:3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아파트 등 공동주택 선택조건에 기존의 브랜드와 입지외에 주거서비스가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주택재고량이 넉넉해지지면서 가격 상승요소인 브랜드와 입지를 넘어 주거생활과 관련된 생활편익지원 및 관련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그만큼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불을 붙인 것은 정부의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의 주거서비스 인증제다. 한국감정원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기업형 임대주택 건설에 앞서 입주민들에게 제공될 각종 주거 서비스 계획을 사전에 제출받아 심사하고 있다. 인증 심사를 통과해야 뉴스테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종 자금 지원 등에서도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도록 법규화함으로써 주거 서비스 경쟁시대의 막을 연 것이다.

하지만 관련 업체들이 제출한 주거서비스 내용을 심사하다 보면 대부분 건강 헬스를 비롯해 식사, 보육, 육아, 청소, 카셰어링 등 아직 초보적이고 천편일률적인 프로그램이 대부분이다. 또 백화점식으로 30여 가지가 넘게 짜여진 경우가 허다하다. 나름 수요 조사를 통해 서비스를 특화했다고 하지만 비용이나 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부분 등이 누락된 경우가 부지기수다. 나중에 입주자 민원이 무서워 불확실하게 얼버무린 사례도 눈에 띈다. 때문에 이들 서비스가 제대로 실제 이뤄질지 극히 의문이다. 물론 뉴스테이 입주가 본격화되면서 이들 서비스가 현실화되고 본인증 심사가 이뤄진다면 단지마다 특화된 서비스가 자릴 잡게 될 것이나 아직 어설픈게 현실이다.

특히 아쉬운 점은 모든 주거서비스가 단지내 주민만을 위한 것으로 계획되고 있다는 점이다. 보육 서비스는 물론이고 헬스, 식사, 심지어 택배시스템까지도 모두 단지내 주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폐쇄적 담장 문화가 주거 서비스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 셈이다. 관리감독이 복잡하고 이웃과의 마찰 등이 잦은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어느 정도 이해가 간다. 그러나 우리의 이같은 아파트 쏠림문화가 극도의 이기주의와 개인주의를 더욱 심화시켜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계층간 양극화와 갈등의 골이 더욱 부추겨왔고 여기에 좌우의 이념까지 결부되면서 사분오열의 혼란과 투쟁이 지속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폐쇄적 담장문화를 적극 개선, 열린 소셜믹스를 적극 실현해 봄직하다.

주거 서비스의 수혜 폭을 지역주민에게까지 확대 적용해 지역공동체의식을 회복하고 활력을 불어넣는 방향으로 서비스가 재설계돼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계획단계에서부터 단지 밖 지역 주민을 감안한 서비스 유형 등을 사전 조사하고 걸맞은 서비스 실행을 위해 지자체와 지역 시민단체 등이 협력하는게 필요하다. 이웃 지역 주민의 편익이 증진되고 서로 원만하게 소통되는 창구를 만든다는 차원에서라도 주거 서비스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개선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이웃 일본의 공동주택 주거서비스는 이같은 점에서 시사하는 바 크다. 아파트 단지내 주거서비스 운영관리주체를 지역 비영리 시민단체가 맡고 각종 서비스를 인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관리체계는 참고할만하다. 해당지역에서 오랫동안 거주해온 지역 전문가를 주거서비스 핵심 주체로 고용, 여기서 지역 주민 민원을 상담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는 시스템은 좋은 본보기가 될수 있을 것이다. 심지어 택배함을 단지 외부에 설치, 지역 주민이 공동으로 이용토록하는 지역 포용적 시설과 이용은 열린 공동주택문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한강변과 강남권 평당 5000만원짜리 아파트 단지가 도마에 오르고 회자되는 것이 단지 가격만의 문제일까. 단지내와 각 가구별 품질고급화, 서비스 고급화는 탓할 바 아니다. 다만 모두가 환영받는 단지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는 단지내 주민뿐만 아니라 한강 고수부지에 나온 다른 시민이 고급 단지의 특별한 서비스를 동시에 누릴수 있어야 가능하다. 이는 또 화급한 일자리 창출은 물론 무너져가는 지역공동체를 회복하고 활력을 불어넣을수 있는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