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여의도 칼럼] 트럼프와 시진핑은 공자, 조조에게 배워야

[여의도 칼럼] 트럼프와 시진핑은 공자, 조조에게 배워야

기사승인 2020. 07. 08. 19:4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족함을 알고 한 발 물러설 때라는 것 알 필요 있어
요즘 케미라는 말을 많이 쓰이고있다. 사람 사이의 호흡이나 조화를 의미하는 이게 잘 어우러지면 케미가 맞는다, 그렇지 않으면 맞지 않는다고 말한다. 흔히 케미가 잘 맞으면 성격이 비슷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 케미가 잘 맞으려면 서로 성격이 상반되는 것이 좋다. 특히 한쪽의 성격이 불 같을 경우는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상대까지 물불 안 가리는 성격이라면 충돌은 불가피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아마도 그래서 공자는 ‘화이부동(和而不同·조화를 이루나 같아지지는 않음)’의 자세를 ‘동이불화(同而不和·같으나 조화를 이루지 못함)’보다 몇 차원 높은 군자의 덕목으로 강조하지 않았나 보인다.

clip20200708144751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 총서기 겸 주석은 미중과 세계의 평화를 위해서라도 반목을 끝내야 한다. 현재 갈등 상황에서 만족을 느끼고 자제를 하면 충분히 가능하다./제공=신화통신.
현재 글로벌 G1이 되기 위해 갈등을 벌이고있는 미국과 중국의 최고 지도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겸 국가주석은 성격이 비슷하다. 자칭타칭 오로지 직진만을 추구하는, 지칠 줄 모르는 스트롱맨이라고 단언해도 좋다. 이 경우는 케미가 잘 맞지 않는 사례다. 트럼프 대통령이 현직에 오른 이후부터 지금까지 양국이 끊임없이 충돌하는 것을 보면 진짜 그렇지 않나 보인다.

양국의 적당한 갈등이나 충돌은 나름 바람직한 측면이 있다고 봐도 괜찮다. 어떤 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도 가져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 무엇보다 서로 발전적인 쪽으로 경쟁하다 보면 국력 신장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세계 전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과도하면 진짜 곤란해진다. 양국 모두 피해를 입는 이른바 양패구상(兩敗俱喪)의 처지에 내몰리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세계의 평화 역시 피해를 입게 된다는 것은 거의 상식에 속한다.

그렇다면 두 스트롱맨이 양국과 세계 평화를 위해 자제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은 바로 자연스럽게 나온다. 더 이상의 이전투구에 휩쓸리지 않은 채 현재 상태에서 만족함을 알아야 한다는 말이 된다. 둘 모두 그럴 수 없다고 버틴다면 유명한 역사적 교훈을 하나 들려줘야 할 것 같다. 때는 위촉오(魏蜀吳) 삼국이 정립하고 있던 후한(後漢) 직후 무렵이다. 당시 위나라 왕 조조(曹操)는 촉나라 유비(劉備)를 몰아붙이면서 농() 지역을 점령해놓고 있었다. 조금 더 공격의 고삐를 가하면 촉나라까지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조조는 철군을 결정한다. 사마의(司馬懿)는 내친 김에 더 밀어붙여 촉나라까지 얻자는 주장을 폈다. 이에 조조는 “이미 농(隴) 땅을 얻었는데 어찌 촉까지 바라겠는가?”라고 말하면서 철군을 강행했다. 적당한 선에서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는 말이었다. 이후 만들어진 ‘득롱망촉’이라는 고사성어는 자제가 필요하다는 긍정적인 의미의 말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재선에 목을 매고 있다. 어떻게든 치적을 올려야 한다. 현재로서는 중국을 마구 두들겨 패서 성과를 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시진핑 총서기 겸 주석 역시 처지가 크게 다르지 않다.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리더십이 흔들리는 것을 막으려면 어떻게든 트럼프 대통령에게 굴복해서는 안 된다. 둘 모두의 처지가 나름 충분히 이해는 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과유불급(너무 지나치면 미치지 못하는 것만 못함)이라는 말이 있다. 너무 강하면 부러진다는 불후의 진리도 둘은 새겨 들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둘 모두 족함을 알아야 한다는 말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둘은 화이부동이 아니라 화이동(和而同·조화를 이루면서도 같음)의 이상적인 상태에서 각자 원하는 바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지금이라도 공자와 조조에게 배우라고 두 지도자에게 진지하게 권하고 싶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