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이용자 안전’에 만전 가하는 전동킥보드 업계…“정부도 나서줘야”

‘이용자 안전’에 만전 가하는 전동킥보드 업계…“정부도 나서줘야”

기사승인 2020. 07. 15.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공유전동킥보드
최근 도로 위 무법자가 된 전동킥보드에 이용자 교육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공유 전동킥보드 업계에서는 강남구 등 지역 자치구와 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등 이용자들의 안전 인식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자동차 운전 교육과 같은 체계적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정부가 적극적인 홍보 채널이 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는 12월부터 전동킥보드 탑승 시 운전면허증이 필요 없어지는 등 전동킥보드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게 되지만 이용자들의 탑승 인식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한 대의 전동킥보드에 2인 이상이 탑승하는 것은 물론, 헬멧 등 안전장구 착용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 뒤나 옆에서 전동킥보드가 갑자기 등장하는 경우도 잦다. 특히 자전거는 종을 치거나 경적을 울려 보행자에 신호를 주지만, 전동킥보드에는 경적을 울릴 경보기나 벨이 달려 있지 않아 사고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높다. 더군다나 전동킥보드 이용 후 주차 구역이 아닌 곳에 무단 주차를 해 도시 미관과 보행을 방해하기도 한다.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가 20곳이 넘어서면서 거리에 활보하는 전동킥보드 수도 나날이 증가하지만, 이용에 대한 교육은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들은 이용자들을 위한 교육에 나서고 있다. 앱을 통한 공지는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캠페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정기적인 프로그램보다는 단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지면 장기 프로그램화까지 고려하고 있다.

우선 ‘라임(Lime)’은 지난 11~1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강남구청, 녹색소비자연대와 함께 시민들을 대상으로 전동킥보드 안전 및 주차 교육 행사를 진행했다. 라임 측에 따르면, 약 50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교육 주 내용으로는 △안전한 주행 및 올바른 주차 방법 △전동킥보드 관련 현행 법규에 대한 1:1 교육이다.

라임은 강남구청 및 녹색소비자연대와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라임은 최근 녹색소비자연대와 올해 300명 이상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전동킥보드 안전 교육 행사를 진행하기 위한 양해 각서 체결했다.

또 라임은 지난해 11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안전 교육 프로그램 ‘퍼스트 라이드 서울’을 개최, 전동킥보드 첫 이용자에게 기본수칙·위험요소 등을 알렸다.

빔모빌리티는 지난 11일 강동구와 협력해 강동 바이크 스쿨에서 ‘빔(Beam) 안전 주행 아카데미’를 열었다. 운전면허증을 소지한 만 16세 이상 강동구민 60명을 대상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의 올바른 이용 방법 △안전 수칙 △주차 방법 등을 알렸다. 빔은 앱 내에서 ‘안전 퀴즈’를 마련, 퀴즈를 맞춘 이용자들에게는 무료 탑승권인 ‘빔 크레딧’을 지급한다.

‘알파카’를 운영 중인 매스아시아는 지난해 11월 동탄2신도시 서비스 개시 당시 3일간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고고씽챌린지’를 진행했다. 동탕2신도시 주민 대상으로, △킥보드 주행 안전 체험 △음주운전 가상체험 △이론교육 △킥보드 퀴즈 등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해 1000여 명이 참여, 선착순으로 접이식헬멧(400개)을 증정했다.

매스아시아 관계자는 “현재는 코로나로 조심스러워 챌린지 캠페인을 보류한 상태이나, 향후 상황이 괜찮아지면 장기적으로는 도로교통공단 또는 기관과 함께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킥고잉’ 올룰로도 지난해 11월 연세대학교에서 안전주행 코스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전동킥보드 기기에 익숙해지기 △전동킥보드 주행 △전동킥보드 주차 등으로 운영했으며, 킥보드 구조·원리 설명부터 일자주행·S자 주행·주차까지 다뤘다.

일레클도 지난해 5월 축제기간 동안 고려대 체육교육학과 학생회와 함께 전동킥보드 안전 캠페인을 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향후 자동차 운전 교육처럼 ‘기초 이론·수칙 → 실기 → 주행에티켓’ 등의 단계적인 프로세스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또 교육은 업체 몫이지만, 이를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홍보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유 PM서비스 이용자들이 한 달에 최소 20만명에서 많게는 50만명까지 된다. 개별 기업에서 한두 번 진행하는 시승·안전 캠페인만으로는 실질적인 안전 교육 효과를 이끌기 힘들다”며 “관할 기관인 경찰청, 국토부, 자치단체 등에서 안전 수칙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개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