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교통공단과 이통3사, 경찰청이 함께 개발한 ‘모바일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는 국내 최초의 디지털 공인 신분 확인 서비스로 작년 9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임시 허가를 획득한 이후 각사의 역량을 모아 개발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공단은 공공기관 최초로 이 서비스를 이달 1일부터 시범 도입해 전국 운전면허시험장 27개소에서 실물 신분증 없이도 운전면허증 재발급과 국제운전면허증 발급 민원 업무를 처리 할 수 있게 했다.
현재 전국 CU편의점과 GS25편의점에서 술, 담배 구입 등 성인 확인을 위한 수단으로 ‘모바일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사용 할 수 있다. ‘모바일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용 중인 통신사가 제공하는 ‘패스(PASS, 이동통신 3사의 인증 서비스 통합 브랜드)’ 앱을 설치해야 한다.
아울러 실물 운전면허증을 촬영해 업로드하면 단말명의, 점유인증과 함께 도로교통공단·경찰청 운전면허시스템을 통해 운전면허증정보 진위를 검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 1대에 1개 통신사를 통해서만 등록이 가능하다.
가맹점 사용 시 기존 신분증과 달리 기본 화면에 운전면허증 사진, 인증용 QR코드 바코드만 노출돼 생년월일, 주소 등 개인정보의 불필요한 노출이 일어나지 않는다.
공단 관계자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이동통신 3사와 운전면허시스템 서버 간 전용선을 구축하고 전구간 암호화를 적용, 외부 공격에 대비한 보안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