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한·일 갈등 책임은…“한·일 국민, 상대국 정치 불신”

한·일 갈등 책임은…“한·일 국민, 상대국 정치 불신”

기사승인 2020. 09. 11. 21:0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국언론진흥재단 한·일 국민인식 조사 분석
한·일 '상대국에 호감없다' 절반 이상
'상대국 제품 불매' 한국인 80%, 일본 31%
한국인 '관계개선 필요', '전망 낙관'…일본인 '물음표'
한일관계 그래픽
일본의 대(對) 한국 수출규제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난 가운데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한 인식을 묻는 조사에서 다수의 한·일 국민은 상대국가 정치인·고위공직자의 책임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은 4분의 3이 서로에게 ‘반반의 책임’이 있다고 말했지만, 일본인은 ‘자국의 책임’을 지적하는 비율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일 갈등 이후 일본 제품 구입이 줄었다고 응답한 한국인은 80.0%에 달했다. 하지만 일본인은 31.1%가 한국 제품 구입이 감소했다고 답해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72.6%는 관계 개선을 위해 일본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줘야 한다고 응답했다. 역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답한 한국인이 90%가 넘었지만 일본인은 55.5%로 역사 인식에서 큰 차이를 드러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은 10일 한·일 갈등 현황과 관계 전망 등에 대한 한·일 국민의 인식을 조사해 비교·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한국과 일본의 20~69세 국민으로, 최종 응답자는 한국인이 1000명, 일본인이 742명이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7%포인트다.

◇ 한국인 4분의 3 ‘반반의 책임’, 일본인은 엇갈려

noname02
‘한·일 관계 악화는 양국 반반의 책임’이라는 응답이 한·일 양국에서 모두 높게 나왔다. ‘서로 반반의 책임이 있다’고 답한 한국인은 75.1%, 일본인은 39.8%였다. 다만 일본에선 ‘한국의 책임이 더 크다’는 답변이 36.7%, ‘자국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응답도 23.6%로 비교적 높았다. 한국인의 16.0%는 ‘일본의 책임이 더 크다’고 답했다. ‘자국의 책임이 더 크다’고 답한 한국인은 8.9%였다.

◇ 상대방 국가의 정치인·고위공직자 책임

noname03
상대국 전문가 집단의 책임이 크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에는 다수의 한·일 시민들이 ‘그렇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국인들은 대다수가 일본의 정치인·고위공직자 등 한·일 외교 관계를 담당하는 집단의 책임이 크다고 답했다. ‘상대국 정치인에게 책임이 있다’고 답한 한국인은 84.9%, ‘상대국 고위공직자에게 책임이 있다’고 답한 한국인은 82.8%에 달했다.

일본은 53.8%가 ‘상대국 정치인에게 책임이 있다’, 51.2%가 ‘상대국 고위공직자에게 책임이 있다’고 응답했다. 언론인의 경우 ‘상대방 언론인에게 책임이 있다’고 답한 한국인은 78.4%였지만, 일본인은 43.1%로 큰 차이가 있었다.

◇ 문 대통령 불신 일본인 79.2%, 아베 총리 불신 한국인 93.7%

noname01
일본인의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와 한국인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 대한 신뢰도는 모두 매우 낮게 조사됐다. 문 대통령에 대해 신뢰한다는 일본인은 2.4%에 머물렀고,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79.2%였다. 한국인은 아베 총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이 93.7%였고, 신뢰한다고 응답은 0.9%에 불과했다.

◇ 한·일, 상대 국가·상대 국민에 대한 호감도 낮아

noname07
한·일 두 나라 시민 모두는 상대 국가와 국민에 대해 낮은 호감도를 보이는 가운데 한국인은 ‘상대 국민’에는 ‘상대 국가’보다 높은 호감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고 답한 한국인은 64.2%에 달했지만 ‘일본인’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한국인은 48.6%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일본인은 ‘한국’에 대해 56.%가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고 답했고, 한국인에 대해서도 54.4%가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상대 국가, 상대 국민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다’는 응답은 양국 모두에서 10%대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 ‘상대국은 경계 대상’ 일본인 63.2%, 한국인 83.1%

noname08
‘상대 국가가 적대 대상’이라는 응답은 한국인이 55.2%, 일본인이 43.8%로 나타났다. ‘상대 국가가 경계 대상’이라는 의견은 한국인이 83.1%, 일본인이 63.2%로 조사됐다. ‘상대 국가가 경쟁 대상’이라는 응답은 일본인이 40.8%인 반면 한국인은 80.8%로 큰 차이를 보였다. ‘상대 국가가 협력 대상’이라는 의견은 한국인이 52.6%로 일본인의 33.6%보다 높았다.

◇ 한·일 갈등 후 ‘상대국 제품 구입 감소’ 한국인 80.0%, 일본인 31.1%

noname05
한국인은 일본 제품 구입이 줄었다는 응답이 80.0%, 일본 콘텐츠 이용이 감소했다는 응답도 69.4%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일본인은 31.1%가 한국 제품(전자기기, 의류, 화장품 등) 구입이 줄었다고 응답해 큰 차이를 보였다. 한국 콘텐츠(영화, 드라마, 음악 등) 이용이 줄었다는 응답은 27.8%였다. 한국인의 96.5%는 일본 제품·콘텐츠 불매 운동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했다.

◇ 한국인 90% 이상 “영토·역사 문제 해결되지 않아”

noname06
한·일 시민 모두 영토·역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다만 응답비율을 보면 ‘독도 등 영토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일본인은 76.8%, 한국인은 91.8%로 차이를 보였다. ‘위안부 등 역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응답 비율은 일본인이 55.5%, 한국인이 91.0%로 차이가 컸다.

◇ 한국인, 일본 정치에 대한 신뢰 상대적으로 낮아

noname09
‘상대 국가의 정치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한국인 84.9%, 일본인 76.4%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상대방 경제, 사회, 문화 영역에 대해서도 ‘신뢰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양쪽 모두에서 높게 나왔다. 다만 한국인은 경제, 사회, 문화 영역에서 일본인보다 상대 국가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관계 개선 위해 상대국이 더 적극 대응해야’ 한국인 72.6%, 일본인 44.1%

noname10
‘양국 관계 개산을 위해 반드시 노력해야 한다’에 대해 한국인은 57.0%가 일본인은 34.0%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자국이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은 한국인이 26.1%, 일본인이 24.5%로 비슷했다. ‘상대국이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은 한국인이 72.6%, 일본인이 44.1%로 한국에서 높게 나타났다. ‘양국 협력·동맹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은 한국인이 47.5%인데 반해 일본인은 31.1%였다.

◇ 10년 뒤 한·일 관계 전망, 한국인이 일본인보다 낙관적

noname11
10년 뒤 양국 ‘정치 관계’에 대한 전망에서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한국인은 22.6%, 일본인은 10.8%였다. 경제 관계가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한국인은 28.8%, 일본인은 8.8%로 차이가 있었다. 문화 영역에서도 한국인은 34.6%는 관계가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지만, 일본인은 13.7%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