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체질 개선’ 공들인 신한금융투자 이영창호, 사모펀드 사태 돌파구는?

‘체질 개선’ 공들인 신한금융투자 이영창호, 사모펀드 사태 돌파구는?

기사승인 2020. 09. 23.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DLS·라임사태 제제심 징계 위기
신뢰 회복 우선으로 대응책 마련
리스크 전담부서 통해 고객 보호
출시상품 감리 기능·절차 고도화
비대면채널·혁신금융서비스 개발
KakaoTalk_20200922_162103993
올해 초 위기상황에서 취임한 이영창 신한금융투자 사장은 사모펀드 관련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조직 안정 및 경영 정상화에 더욱 더 고삐를 죌 전망이다. 일단 전임 사장이 경영할 당시 발생한 일인 만큼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라 경영공백 우려는 덜었다. 이 사장은 사업부문 조직은 슬림화해 효율성을 높이고, 소비자보호 조직은 강화하면서 신뢰 회복에 방점을 찍었다.

다만 라임자산운용 펀드부실과 독일 헤리티지 파생결합증권(DLS) 손실 사태가 함께 금융당국의 제재 대상으로 올라 징계 수위가 한층 높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관경고 이상의 중징계가 확실시되면 신사업 추진은 당분간 어려워진다. 상황을 고려해 이 사장은 일단 디지털 부문에 주력하면서 비대면 채널을 강화하고, 혁신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체질개선을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르면 이달 말부터 라임자산운용 부실 펀드 판매사들에 대한 제재 논의를 시작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판매사 중 신한금투인 경우 라임자산운용과 공모했다고 보고 있어, 징계수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신한금투는 라임뿐만 아니라 독일 헤리티지 파생결합증권(DLS) 관련 대규모 손실과 관련한 분쟁으로 감독당국의 조사를 받았다. 아직 제재 여부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라임사태로 제재이력이 누적되면 가중처벌이 이뤄질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일련의 사태 후 일찌감치 사령탑을 교체해 경영공백은 사전에 막았다. CEO에게도 내부통제 부실 등의 책임을 물어 징계가 내려질 수 있었다. 김병철 전 사장이 물러난 후 신한금융지주 자회사경영관리위원회는 “경영공백을 최소화하는 것이 고객과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보고 차기 사장 선임 절차를 빠르게 진행했다.

이 사장은 취임 이후 첫 조직개편에서 소비자 보호 강화에 초점을 맞추면서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상품 관련 문제가 발행한 신탁 부서는 신규 업무를 중단시키고,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의 사업 범위도 축소했다. 리스크 관리를 책임지는 전담 조직을 신설하기도 했다. 출시 상품 검증도 고도화했다. 소비자보호조직과 상품 개발 부서장, 영업 부서장이 함께 협의해 논의하는 절차를 마련했다 상품 공급 부서는 IPS(투자 상품 서비스)본부로 집중시켜 상품 감리 기능을 강화했다. 헤지펀드와 신탁, 랩운용부 모두 IPS 본부 산하로 두면서 상품 관리 체계를 집중시켜 엄격한 관리를 하도록 했다.

조직 안정을 우선시하는 한편, 체질개선도 모색하고 있다. 일단 그룹 차원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강화 전략에 동참하면서 투자 상품 선정 등에도 이를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디지털 부문 강화로 혁신도 추진한다. 신한금투는 디지털 플랫폼 개발과 혁신을 위해 MTS(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 HTS(홈트레이딩 시스템) 개발업무를 디지털 사업본부로 이동시켰다. 또 디지털 수익원을 선점하기 위해 마이데이터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4분기에는 혁신금융서비스인 해외주식교환권 서비스와 해외주식 스톡백 서비스(마일리지로 주식 매수)도 선보일 예정이다.

그러나 수익성 측면에서는 부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 실적도 라임펀드와 헤리티지 DLS 관련 충당금이 대폭 늘어나면서 전년 대비 영업이익 66%, 당기순이익은 60%나 감소했다.

초대형 투자은행(IB)의 꿈도 잠시 멈췄다. 지난해 7월 신한금융투자는 6600억원의 유상증자를 통해 4조원 이상으로 자본을 끌어올리면서 초대형 IB요건을 달성했다. 초대형 IB로서 신규 사업을 추진해 이익창출력 개선 및 IB역량 강화를 꾀했지만 징계가 확정된다면 향후 3년간은 신사업 인가를 받을 수 없다.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아직 사모펀드 관련 손실 확정이나 징계 절차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상황에 맞게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며 “투자자 보호와 신뢰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