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천재화가 김기창 아내 아닌 ‘예술가 박래현’을 재조명하다

천재화가 김기창 아내 아닌 ‘예술가 박래현’을 재조명하다

기사승인 2020. 09. 29. 14:1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박래현 탄생 100주년 기념전 개최
박래현, 작품
박래현의 ‘작품’(1970~1973년)./제공=국립현대미술관
20세기 한국 화단을 대표하는 여성 미술가 박래현(1920~1976)은 가부장제 시대에 본인의 이름보다는 ‘청각장애를 가진 천재화가 김기창의 아내’로 주로 불렸다.

하지만 박래현이 1960년대 선보인 태피스트리와 1970년대 판화 작업은 20세기 한국 미술에서 선구적인 작업으로 평가 받는다.

이에 국립현대미술관은 박래현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회고전 ‘박래현, 삼중통역자’를 29일부터 내년 1월 3일까지 덕수궁관에서 선보인다.

전시는 회화, 판화, 태피스트리 등 작품 138점과 아카이브 71점으로 구성됐다.

박래현은 일본 유학 중이던 1943년 ‘단장’으로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총독상을 받았다. 해방 후에는 서구 모더니즘을 수용한 새로운 동양화풍으로 1956년 대한미협과 국전에서 ‘이른 아침’ ‘노점’으로 대통령상을 연이어 수상했다.

1960년대 김기창과 함께 동양화의 추상 실험을 이끌었고, 1967년 상파울루비엔날레 방문을 계기로 중남미를 여행한 뒤 뉴욕에 정착해 판화와 태피스트리로 영역을 확장했다. 7년 만에 귀국해 1974년 개최한 판화전은 한국미술계를 놀라게 했다. 그러나 1976년 1월 간암으로 갑작스럽게 타계했고, 대중과 평단의 관심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전시 제목 ‘삼중통역자’는 박래현이 자신을 표현한 말이다. 미국 여행에서 그는 여행가이드의 영어 설명을 구화와 몸짓으로 김기창에게 전달했다. 동행한 수필가 모윤숙에게 박래현은 자신이 ‘삼중통역자와 같다’고 했다.

이번 전시에서 ‘삼중통역’은 회화, 태피스트리, 판화라는 세 가지 매체를 넘나들었던 박래현의 예술 세계를 의미한다.

전시는 먼저 박래현이 일본에서 배운 일본화를 버리고 수묵과 담채로 당대의 미의식을 구현한 ‘현대 한국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소개한다. ‘단장’ ‘이른 아침’ ‘노점’이 한자리에서 공개된다.

또한 화가 김기창의 아내이자 네 자녀의 어머니로 살았던 박래현이 예술과 생활의 조화를 어떻게 모색했는지 살펴본다. 여성지에 실린 박래현의 수필에서도 생활과 예술 사이에서 고민했던 박래현을 만날 수 있다.

세계를 여행하고 이국 문화를 체험한 뒤 완성해 나간 독자적인 추상화도 전시된다. 1960년대 세계 여행을 다니며 박물관의 고대 유물들을 그린 스케치북 등이 독자적인 추상화의 완성 과정을 보여준다.

끝으로 판화와 태피스트리의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동양화의 표현영역을 확장한 박래현의 마지막 도전을 조명한다. 타계 직전 남긴 동양화 다섯 작품, 판화와 동양화를 결합하고자 했던 시도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소장가들의 적극적 협력으로 평소 보기 어려웠던 작품들이 대거 전시장으로 외출했다”며 “열악했던 여성 미술계에서 선구자로서의 빛나는 업적을 남긴 박래현 예술의 실체를 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