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설] 코로나에 쓰레기 대란, ‘처리 산업’ 발전시켜야

[사설] 코로나에 쓰레기 대란, ‘처리 산업’ 발전시켜야

기사승인 2021. 07. 06. 17:5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정부와 서울시, 경기도가 너무 안이하게 대처하면서 수도권 쓰레기 대란 현실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사용 종료 시점이 불과 4년밖에 남지 않았다. 하지만 정부와 서울시, 경기도의 대체 매립지 선정은 요원하기만 하다. 새로운 매립지가 결정돼도 행정절차를 밟아 완공까지 최소 5년 이상이 걸린다. 내년 3월 대선과 6월 지방선거까지 겹쳐 그 어떤 지방자치단체도 혐오·기피 시설인 쓰레기 매립지를 유치하겠다고 나서지 않고 있다.

현재 수도권 주민 2600만명이 배출하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수도권 매립지는 인천시에 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인천시는 2025년부터 서울시·경기도 지역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고 전격 선언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달 9일까지 대체 매립지 2차 공모에 들어갔지만 관심을 보이는 지자체는 단 한 곳도 없다.

정부와 서울시, 경기도가 지금도 늦었지만 당장 나서 사회적 대타협을 하든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 코로나19로 배달 음식과 택배 주문량이 폭주하면서 올해 수도권 생활 폐기물이 무려 77만톤이나 배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정부는 매립되는 쓰레기 양을 줄이기 위해 2026년부터 수도권에서 종량제 봉투 직매립을 금지한다.

하지만 정부가 보다 근본적이고 선제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배달과 택배를 통해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해냈지만 그 대신 택배가 급증해 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이고 있다. 이참에 우리 정부가 근본적으로 쓰레기를 줄여 환경도 보존하고 이를 재활용하는 ‘쓰레기 처리 산업’을 발전시킬 방안을 적극 개발했으면 한다.

선진국들은 오래전부터 다 쓴 페트병이나 유리병을 집근처 마트에 내거나 자판기에 넣으면 현금으로 바꿔주는 등 재활용을 통한 쓰레기 줄이기에 나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전 세계적 골칫거리인 쓰레기의 재활용과 제거에 정부와 민간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그 결과 ‘쓰레기 처리 산업’이 발전한다면 환경을 보존하면서 동시에 부가가치도 창출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