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HMM 민영화 시동…“경영권 민간 이양 추진”

HMM 민영화 시동…“경영권 민간 이양 추진”

기사승인 2022. 08. 11. 18:1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조승환 장관 해수부 업무보고
핵심 키워드는 '신 해양강국 도약'
선박 펀드 21억→36억 달러로 확대
광양·진해 신항 등 항만시설 자동화
해양 바이오 산업·레저관광 육성
김 등 K-수산물 수출 지원 강화
basic_2022
HMM의 민영화가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가 중장기적으로 경영권을 민간에게 넘기는 방안에 나설 뜻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11일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가진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의 올해 업무보고를 발표했다.

해수부의 올해 업무보고 핵심은 HMM 민영화 추진이다.

조 장관은 "해운시장을 시장 중심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힌뒤 "HMM은 경영정상화 성과를 바탕으로 민간 경영권 중장기 이양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중장기'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사실상 HMM의 민영화 추진 의사를 내비친 셈이다. 지난 5월 25일 기자간담회에서 "(HMM)당장 민영화에 대해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얘기한 것에 비해 약 3개월 만에 HMM 민영화에 대한 미묘한 입장 변화가 생겼다는 뜻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HMM)경영 여건 변화 등에 따른 민영화에 대한 큰틀에서의 방향성을 제시한 수준"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해수부는 해운시장에 대한 공공부문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공공기관이 선박 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담당하도록 정책금융 기관의 선박 펀드 규모를 21억달러에서 36억달러로 확대하고, 경기 침체에 대비 2026년까지 선박 매입·임대 전문 리스사를 설립하기로 한 것이다.

해수부 업무보고의 또 다른 큰 줄기는 '신 해양강국으로의 도약'이다.

조 장관은 "수산, 해운, 항만 등 전통 해양수산업의 디지털화·스마트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면서 "해양 신산업분야의 새로운 성장동력도 적극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항만시설 자동화 및 항만물류산업의 부가가치 제고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국내 기술을 활용 광양항에 완전자동화항만 테스트베드 구축, 부산항 진해신항을 스마트 메가포트로 조성, 국내 주요 항만에 LNG 급유시설·수리조선소 등 부가가치 높은 항만 서비스 도입 등이 대표적이다.

해수부는 미래 유망 분야로 꼽히는 해양레저관광, 해양바이오, 신해상교통서비스 등 해양 신산업을 집중 육성해 15조원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복안이다.

이와 관련 거점형 마리나와 소규모 계류 시설을 확충해 마리나 산업을 육성하고, 해양치유센터 등을 조성해 해양레저관광 활성화에 나선다.

2023년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마스터플랜 수립할 계획이다.

해양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핵심 소재 국산화와 동서남 권역별 육성 거점 구축을 추진하고, 선박의 첨단 소부장 기술 개발은 지원해 해상교통 신시장 선점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해수부는 세계 6번째로 남극 내륙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해양수산 모태펀드 규모도 3000억원에서 5000억원 수준까지 키워나갈 계획이다.

또한 해양보호구역 면적을 우리 영해의 17%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2021년 9.2%에 비해 곱절 가량 늘어난 규모이다.

아울러 상괭이, 돌고래 등 해양동물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 수족관에서 사육·전시 중인 남방큰돌고래, 흰고래(벨루가)의 해양방류를 추진하고, 총허용어획량 제도(TAC) 적용 대상을 2027년 국내 전체 생산량의 6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2021년 29%에 비해 두배 규모로 커지게 된다.

또한 전국 6개소에 조성하고 있는 스마트 양식클러스터를 조속히 완공해 2025년부터 대서양 연어를 비롯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국내에서 생산해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글로벌 스타 수산물 김을 수출 10억달러 품목으로 육성하는 등 수산물 수출 지원에더 적극 나선다.

해수부는 전국 어촌을 '거점형', '자립형', '정주유지형'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생활 편의성을 개선하는 '어촌 신활력 증진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소규모 어가, 어선원 등 영세 어업인에게 기본형 수산공익직불금을 지급하고, 40개 소외도서에 선박 투입을 지원해 대체 교통편이 없는 모든 도서 주민들의 편의 제고에도 나선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