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獨·美, 우크라 전차 지원 ‘청신호’…중·러도 밀착 강화

獨·美, 우크라 전차 지원 ‘청신호’…중·러도 밀착 강화

기사승인 2023. 01. 25. 15:0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獨 매체 "숄츠 총리, 우크라에 '레오파드2' 지원 결정한 듯"
WSJ "이번 주 내에 美 주력전차 지원 공식발표 있을 것"
美 정부, 中 국영기업 러시아 지원 정황 포착… 미·중 갈등 심화 우려
UKRAINE-CRISIS/DAVOS-TANKS <YONHAP NO-3783> (REUTERS)
독일의 주력전차 '레오파드2'./사진=로이터 연합
우크라이나에 주력전차 제공을 망설이던 독일과 미국이 지원 방침을 굳혔다는 보도가 잇달아 나왔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 1년째를 맞은 가운데 서방의 지원 공세에 러시아도 질세라 중국과 관계를 강화하는 모양새다.

24일(현지시간) 독일 매체 슈피겔은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올라프 숄츠 총리가 우크라이나에 주력전차인 레오파드2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또 제3국이 레오파드2를 재수출하는 것도 허용할 전망이다.

현재까지 독일 정부의 공식적인 발표는 없지만, 앞서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장관이 전차 지원 여부와 관련해 결정이 임박했다고 시사한 만큼 조만간 공식 입장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독일의 전차 지원 결정 보도에 대해 연립정부를 이루고 있는 자유민주당(FDP) 소속의 마리에-아그네스 슈트라크-짐머만 하원 국방위원장은 "매우 길고 어려운 결정이었지만 결국은 이뤄졌다"면서 우크라이나인들에게 큰 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독일 정부가 공식적으로 우크라이나에 전차를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 일찌감치 전차 제공 의사를 밝히며 독일의 허가만 기다려왔던 폴란드도 곧장 지원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영국 국제전략연구소(ISS)에 따르면 EU(유럽연합)와 NATO(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회원국 가운데 최소 16개국이 약 2000대의 레오파드2를 보유하고 있다. 영국 BBC 방송은 숄츠 총리의 이번 결정은 폴란드뿐만 아니라 레오파드2를 소유하고 있는 나라들이 추가로 우크라이나에 전차를 지원할 가능성을 열어줬다고 평가했다.

독일은 그간 확전을 우려하며 우크라이나에 전차 제공을 꺼려왔는데, 서방의 압력이 커지자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이날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영상 연설을 통해 서방의 빠른 결단과 실행을 촉구했다. 그는 "동맹국들은 우리에게 필요한 수량의 전차를 보유하고 있다"면서 "중대 결단이 이뤄지면 우리는 매우 감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일과 함께 전차 제공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던 미국도 주력전차인 M1 에이브럼스의 지원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날 보도했다. WSJ은 조 바이든 행정부 관리들을 인용해 이번 주 안에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M1 에이브럼스를 지원한다는 공식발표가 이뤄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독일은 전차 지원 허가의 전제조건으로 미국도 마찬가지로 전차를 지원할 것을 내세웠는데, 독일의 레오파드2 제공을 이끌어내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우크라이나로서는 올해 상반기 러시아의 대반격이 예상되는 가운데 서방의 전차 지원으로 기동력과 화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레오파드2는 운용 방법이 간단하고 디젤 연료를 사용해 연료 소비가 효율적이기 때문에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전차들이 실제로 우크라이나에 인도되기까지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릴 수 있어 신속한 인도 절차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서방의 우크라이나 군사지원 강화에 러시아도 반(反)서방 세력과 더욱 밀착하는 모습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최근 중국 국영기업들이 러시아에 지원을 제공했다고 의심할 만한 정황을 포착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 정부 측에 물밑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사전에 정부가 이런 활동을 인지했는지를 확인하려 시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국영기업들의 행동에 관여했거나, 이를 암묵적으로 허용했다면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에 어느 수준으로 대응해야 할지 결정할 것"이라면서 반도체나 대만해협 등 이슈를 둘러싸고 미·중 갈등이 한층 고조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