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정찰 풍선 격추 악재로 미중 관계 최악

정찰 풍선 격추 악재로 미중 관계 최악

기사승인 2023. 02. 05. 17:3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미, 블링컨 방중 연기…대중 비난 목소리 커져
중, 불만과 항의 표시…네티즌 반미 움직임도
clip20230205142042
미 공군의 F-22 스텔스 전투기에 의해 격추되는 중국의 이른바 정찰 풍선. 존재 자체로 미중 관계를 더욱 꼬이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기상 관측용이라고 주장하는 이른바 정찰 풍선을 미국이 4일(현지 시간) F-22 스텔스 전투기를 동원해 사우스캐롤라이나 해안 영공에서 격추함에 따라 양국 갈등이 완전 최악 상황으로 진입하고 있다. 당분간 좋아질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해도 크게 무리하지 않을 것 같다.

양국은 당초 이틀로 예정된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5일 방중을 통해 극단으로 치닫는 관계의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으로 있었다. 양국 관계에 밝은 베이징 외교 소식통의 이날 전언에 따르면 그러나 발견된 지 1주일 만에 격추된 정찰 풍선이 모든 것을 수포로 만들고 말았다. 블링컨 장관이 3일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 대륙 위로 정찰 풍선을 비행시키기로 한 중국의 결정은 용납할 수 없다. 정말 무책임하다"고 비판한 후 자신의 방중 연기 사실을 밝힘에 따라 양국 관계의 호전은 당분간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당연히 미국 내 분위기도 흉흉하다. 무엇보다 정치권에서 대중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근 소속 의원 18명이 대만을 독립 주권 국가로 인정해야 한다는 결의안을 행정부에 제출한 공화당은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언론의 경우는 빨리 풍선의 잔해를 수거해 진실 규명을 위한 분석에 나서라고 당국에 주문하고 있다.

중국 역시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다. 우선 외교부가 5일 홈페이지에 올린 성명을 통해 "미국이 무력을 사용해 민간 무인 비행선을 공격한 것에 대해 강한 불만과 항의를 표시한다"고 밝히면서 미국이 과잉 반응을 보였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해당 비행선은 민간용이다. 불가항력으로 미국 영토에 진입했다. 우리는 비행선을 띄운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단호히 보호할 것"이라면서 필요 시 추가 대응 방침도 예고했다.

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 자매지 환추스바오(環球時報)를 비롯한 관영 언론도 자국 입장을 일방적으로 대변하고 있다. 심지어 상황 악화와 오판을 피하기 위해 너무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미국이 중국과 적극 소통해야 한다는 논조를 펴고도 있다. 누리꾼들은 한 술 더 뜬다고 봐야 한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들을 통해 "정찰 풍선 소동은 미국의 자작극일 수도 있다"는 등의 주장까지 펼치고 있다면 더 이상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정찰 풍선 소동은 양국 관계에 상당한 악재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미국 입장에서 볼때 대중 강공 드라이브에 필요한 핑계를 확실하게 잡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해야 한다. 향후의 양국 관계가 부정적 결과를 양산할 새 국면으로 진입할 것이 확실시된다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다.

한편 쯔유스바오(自由時報)와 중궈스바오(中國時報) 등 대만 언론은 이날 중국의 정찰 풍선이 대만에서도 2021년 이후 2차례 출현한 사례가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만 전문가들은 이번 풍선이 기상 용도는 아닐 것으로 추정했다. 대만 국방안전연구원(INDSR)의 쑤쯔윈(蘇紫雲) 연구원은 대기권의 기구가 지상의 전자 신호를 가로채거나 수집하는 데 있어 위성이나 레이더 등의 설비보다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의 지적에 따르면 이같은 풍선은 2차 세계 대전 때나 사용됐을 만한 모양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고도에서 날 수 있다. 오래 정찰할 수도 있다. 발사 비용이 적게 드는 것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양융밍(楊永明) 대만대 정치학과 교수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너무 많은 상상의 공간이 있다"면서 미중 신냉전의 서막이 정식으로 열린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