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 용인경찰서에 따르면 A양은 16일 오전 8시10분께 용인시 수지구 모 중학교 1학년 교실에서 같은 반 친구인 B, C(13)양을 미리 준비한 흉기로 등을 한 차례씩 찔렀다.
인근 병원으로 옮겨진 B, C 양은 봉합수술을 받았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A양은 평소 같은 반 학생 몇 명에게 수시로 성적인 언어 폭행과 따돌림을 당했고, 사건 전날에도 '너 남자친구 있느냐?' '내 가슴 만져봐라' 등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언어폭행 등 괴롭힘을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원폭력이나 왕따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그 심각성은 이제 그냥 넘어갈 수준이 아니다.
학원폭력이나 따돌림으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은 아이들은 극단적인 경우, 자살을 택하거나, 공격성을 드러낸다. 교실에서는 종종 흉기난동사건이 벌어지며, '왕따', '이지메'라는 단어는 학생들에게 전혀 낯선 단어가 아니다.
특히 왕따문제는 사회의 시한폭탄과도 같다. 지난 2005년에는 한 일병이 GP(전방초소)내무반에서 수류탄을 던지고 총기를 난사해 8명의 전우를 살해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났고, 2007년에는 버지니아 공대 조승희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했다. 이 참극의 주인공은 왕따, 외톨이였다.
아직 피지 못한 여고생들이 따돌림을 견디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아직 어린 소녀가 친구를 향해 칼을 겨누는 상황은 잘잘못을 떠나 안타까운 모습이다. 앞으로 이런 일이 더이상 일어나지 않도록 교육기관과 가정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며 소외된 이들을 끌어안는 개개인의 노력 또한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