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장관 윤증현)와 한국개발연구원(원장 현오석·KDI)이 22일 개최한 국가재정운용계획 총괄ㆍ총량분야 토론회에서 '재정운용계획 총괄ㆍ총량분야 보고서'를 통해 재정운용계획의 사후 평가제를 도입하고 장기재정전망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재정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발제자로 나선 유한욱 KDI 연구위원은 "2009~2013년 재정계획 수립 이후 지난해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높아지고 감세조치가 유예된데다 2009년 결산결과 재정수지 적자가 감소하는 등 여건이 개선돼 올해 재정총량은 기존계획보다 상당히 양호한 수준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2013~2014년 총수입ㆍ총지출 증가율 격차도 기존계획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균형재정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연구위원은 그러나 "그리스, 스페인 등 PIIGS 국가들의 재정위기와 잠재성장률 하락 가능성 등 경기의 하방위험 존재하므로 강도 높은 세출 구조조정과 세입기반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재정건전화를 위한 생산성 향상의 필요성을 지적하면서 ▲창업ㆍ벤처 등 신규진입 촉진 방향으로 중소기업 지원책 개편 ▲중소기업의 구조조정 추진 ▲설비투자에 집중된 세제혜택 완화 ▲연구개발(R&D) 지원 확대를 통한 부품소재산업 생산성 향상 ▲고용친화적인 예산제도 도입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송호신 한국조세연구원의 연구위원은 올해와 내년 국세 수입이 2009~2013년 계획상의 전망치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2012년 이후 세입여건이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전제한 올해 5% 성장률이 실현되지 못하고 4% 초반에 그친다면 당초 세입목표가 실현될 가능성이 낮다"면서 "남유럽발 재정위기에 따른 불확실성과 금융불안도 잠재적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위원은 이에 따라 "개인소득세와 부가가치세 중심의 중장기적인 세입확충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자유무역협정(FTA) 확대로 관세 세수가 주는 것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