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55평은 7월 27억원에서 9월 32억원으로 껑충 뛰었고 대치동 은마 31평형도 같은 기간 8억7천만원에서 10억1천만원으로 상승했다.
그러나 강남-강북, 수도권-지방, 중소-대형 평형간 오름폭은 큰 격차를 보여 집값 양극화가 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교통부는 "올해 3.4분기 전국에서 실거래가 신고된 아파트 13만4천건과 2.4분기 공개대상에서 제외됐던 소규모 아파트 10만8천건 등 모두 24만2천건의 거래가격을 인터넷 홈페이지(www.moct.go.kr)와 전용망(http://rt.moct.go.kr)을 통해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강남-강북 등 양극화 심화
자료에 따르면 3.4분기 아파트 거래는 7월 이후 증가해 이사철인 9월부터 본격적인 상승세를 나타냈으며 특히 비강남권의 소형, 저가매물이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월별 평당 평균 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서울은 6월 1천38만원에서 1천181만원으로 143만원이 올랐다.
특히 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강남 3구는 2천129만원으로 252만원이 뛰었다.
그러나 강북 14개구는 870만원으로 19만원 오르는데 그쳐 강남-강북간 가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수도권 5개 신도시는 935만원에서 1천98만원으로 이를 포함한 수도권은 759만원에서 871만원으로 거래 평균가격이 상향조정됐다.
반면 인천을 포함한 지방 6개 광역시는 같은 대도시라도 15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수도권 아파트의 평형별 가격추이는 소형이 627만원에서 703만원, 중형이 800만원에서 900만원으로 전용 25.7평이하 중소형 아파트의 상승폭이 76만~100만원이었지만 중대형은 1천23만원에서 1천263만원으로 240만원이나 올라 중대형 주택에 대한 두드러진 수요증가를 보여줬다.
◇강남 삼성 아이파크 55평형, 5억원 '껑충'
개별 단지별로는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의 경우 33층짜리 55평 아파트가 7월 27억원에 거래됐지만 불과 두달뒤인 9월초 19층 가격이 32억원으로 무려 5억원이나 값이 뛰었다.
압구정동 구현대 1차 54평은 7월 23억9천700만원에서 거래된뒤 8월 18억3천만원까지 떨어졌다 9월말 23억5천만원으로 회복됐다.
대치동 은마 31평은 7월 8억4천만원에서 8월 8억9천만~9억원, 9월 9억7천만~10억1천만원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계주공 7단지 21평은 7월 1억~1억2천만원이던 거래가격이 9월말 1억2천만~1억3천500만원으로, 고양 일산 일신삼익 33평은 2억3천만원에서 2억5천~2억8천만원으로, 군포 산본 설악2차 21평은 1억3천만원에서 1억4천~1억5천만원만원으로 가격이 조정됐다.
한편 강남북, 신도시 아파트의 대표격인 서빙고동 신동아, 강남구 대치동 동부센트레빌, 도곡동 타워팰리스, 삼성동 아이파크, 압구정동 현대, 분당 정자동 파크뷰 등 평당 가격을 살펴본 결과 삼성동 아이파크의 평당 가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5평의 경우 7~9월 두건이 거래됐는데 가격은 27억(33층)에서 32억원(19층)으로 올라 평당 5천818만원을 기록했다.
88평은 9월 하순 한건의 거래가격이 44억원(43층)으로 평당 5천만원이었다.
대치동 동부센트레빌 44평과 53평의 거래가격이 9월 20억3천만원(15층), 25억8천만원(12층)으로 평당 4천511만원, 4천868만원인 점과 비교하면 평당 최고 1천만원까지 차이를 보인 셈이다.
아이파크와 함께 강남 중대형 시장을 이끄는 타워팰리스 1차는 9월 73평이 30억에 거래돼 평당 4천109만원을 기록했지만 거래된 아파트의 층이 저층(3층)이어서 실제 기준층 가격은 이보다 수억원 이상 비쌀 것으로 관측됐다.
압구정 구현대 1차 43평 가격은 16억6천만원(8층), 54평이 23억9천700만원(4층), 65평이 29억원(10층)이었다.
평당 가격은 3천860만, 4천439만, 4천462만원이다. 하지만 같은 층의 54평은 한달뒤인 8월초 18억3천만원에 거래가 돼 5억이상의 격차를 보인 점도 눈길을 끈다.
분당파크뷰는 33평이 7월 9억9천만원(3층)에, 48평이 9월 16억6천만원(5층)에, 54평이 20억(20층)에, 78평이 34억9천만원(22층)에 각각 거래됐다.
평당가는 33평이 3천만원, 48평 3천458만원, 54평 3천704만원, 78평 4천474만원으로 중소형과 대형의 평당 가격차가 1천500만원에 육박했다.
용산 신동아는 31평이 8억8천700만원(9층, 평당 2천861만원), 46평이 15억1천만원(5층, 3천283만원), 55평이 16억원(9층, 2천909만원)으로 오히려 40평형대 아파트의 평당값이 가장 높았다.
◇이사철. 학군수요 등으로 8월 이후 거래 회복세
3.30 대책과 5월 버블논쟁 이후 비수기를 맞으면서 아파트 거래량은 4월 5만3천건에서 7월 3만1천건으로 떨어졌다.
서울은 1만2천건에서 5천300건으로 반토막이 났고 특히 강남 3구는 2천491건에서 452건으로 무려 80%나 줄었다.
하지만 여름휴가철이 끝나고 이사철이 시작된 8월부터 거래량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8월 거래량은 강남 750건, 강북 4천200건, 전국 4만건에 달했다.
신혼수요, 학군수요가 몰리면서 전세가격이 강세를 나타내고 이같은 추이가 '아예 집을 사자'는 매매수요로 바뀌면서 9월 전국 거래량은 3월보다 1만건 이상 늘어난 6만3천건으로 올해 최다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8월 대비 1만8천건이 증가해 4만3천(전국의 68%)이었다.
서울은 8월 7천800건에서 1만5천건으로 늘었는데 강남 3구가 1천900건, 강북이 7천500건을 나타냈다.
수도권 신도시도 3월 수준(3천700건)을 회복했다.
거래 증가는 중.소형이 두드러졌다.
25.7평 이하의 거래비중인 85%에서 91% 증가한 반면, 대형은 15%에서 9%로 낮아졌다.
거래는 3억이하 주택이 전체의 78~83%, 3억-6억이하 14~18%, 6억초과 2~4.5%로 조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