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최용민의 좌충우돌] 국회의원, ‘머슴’과 ‘영감’의 역설

[최용민의 좌충우돌] 국회의원, ‘머슴’과 ‘영감’의 역설

기사승인 2011. 01. 17. 16:5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선거 땐 머슴, 당선후에 영감?
최용민 기자] 국회 보좌관들을 사석에서 만나면 ‘영감님’이라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기자들도 “영감님은 잘 계시나”고 묻기도 한다. 영감님? 사법·행정고시가 고등고시라 불리며 일제의 잔제가 그대로 남아있던 시절, 이 시험에 합격해 부임한 검사나 기초지방자치단체 단체장을 부르던 명칭아닌가. 21세기 최첨단 시대, 그것도 민의의 전당이라는 국회에서 영감님이라니. 그렇다. 개개인이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을 일컫는 말이다.

조선시대 영감은 정3품과 종2품의 당상관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조선 후기, 80세는 통정대부(정3품), 90세는 가선대부(종2품), 100세는 숭정대부(종1품)라고 해 실직은 아니지만 품계만 주는 공명첩을 내렸다. 이후 이 연장자를 존중하는 미풍양속은 노인을 ‘영감’이라는 부르는 유래가 됐다.

그러나 국회의원을 부르는 ‘영감님’은 당연히 노인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40대의 젊은 국회의원도 ‘영감님’이다.

한 보좌관은 “국회의원들은 은근 ‘영감님’이라고 부르는 걸 더 좋아한다. 국회의원도 나라 일을 한다는 측면에서 일종의 벼슬 아닌가”며 “국민의 머슴이라고 자처한다지만 실은 벼슬이라고 생각하는 국회의원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게 권력의 속성이고 당연한 것 아니겠는가”면서도 “한편으로는 대부분의 국회의원들이 그 자리를 벼슬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들이 정치를 외면하는 것 아닌가라는 씁쓸한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선거 때마다 국회의원이 되고자하는 후보들은 ‘머슴론’을 들고 나온다. 국민을 위한 ‘머슴’이 되어 국민을 위해 일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선거가 끝나면 위상이 달라진다. ‘안면 몰수하는’ 경우가 허다하게 생긴다. 지역 주민도 후보 때와 다르게 대접한다. 단숨에 ‘머슴’에서 ‘영감님’으로 급격한 신분상승이 이뤄지는 것이다.

극과 극은 통한다고 했던가. ‘머슴론’을 내세우며 한없이 낮아지겠다고 했던 국회의원들의 마음은 사실 ‘영감’으로 불리우며 한없이 높아지고자 했던 마음의 또 다른 표현이 아닌가 한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