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란의 장면은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인 길자연 목사가 합심기도 순서 때 “우리는 다 같이 무릎을 꿇고 하늘 향한 우리의 죄의 고백을 기뻐하시는, 진정으로 원하시는 하나님 앞에 죄인의 심정으로 1분 동안 통성기도를 하자”고 제안하면서 연출되기 시작했다.
길 목사의 제안에 참석자들이 하나 둘 무릎을 꿇었고 단상 위에 앉아 있던 인사들도 무릎을 꿇기 시작했다.
이 대통령은 잠시 주저하기도 했지만 먼저 무릎을 꿇은 김윤옥 여사가 허벅지를 찌르며 재촉하자 결국 무릎을 꿇었다.
이를 두고 국가를 위한 기도회였던 만큼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는 시각도 있지만 국가원수가 특정 종교행사에서 무릎을 꿇은 것은 부적절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불교계는 격앙된 분위기다.
대한불교청년회는 긴급 논평을 내고 “이 대통령의 행위는 국민을 실망시키는, 대단히 사려 깊지 못한 것”이라며 “대한민국과 국민을 위해 국격을 훼손시키지 말고 남은 임기를 마쳐 주실 것을 정중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조국 서울대 교수는 4일 트위터를 통해 “길모 목사가 갑자기 ‘통성기도’를 제안하여 대통령 등이 무릎 꿇고 기도를 했다”며 “향후 불교계에서 유사한 행사를 제안해 MB가 사찰을 방문할 때 사회자 스님이 ‘자, 우리 모두 부처님께 3배를 올립시다’고 제안하면 어떨까”라고 꼬집었다.
문화평론가 진중권씨도 같은 날 트위터에서 이 대통령의 ‘무릎기도’를 직접 겨냥하지는 않았지만 “기독교 보수주의의 도움으로 집권했고, 평소에 사적 신앙과 공적 책무를 구별하지 못하니, 목사들 눈에 대통령이 그냥 장로로 뵈는 거죠”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어색한 장면을 연출한 길 목사가 경솔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특히 길 목사는 이슬람채권법(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반대를 주도해왔다는 점에서 이번 일이 의도된 것 아니냐는 미묘한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길 목사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전혀 의도된 건 없다”며 “대통령도 착실한 신자라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간절히 기도한 것이라 봐주면 좋겠다. 국부(國父)가 겸손히 무릎 꿇는 게 정말 대단한 용기 아니냐”고 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4일 청와대 문화체육비서관에 불교계의 신임이 두터운 곽영진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조정실장을 내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