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아시아서 ‘사회적 책임’ 관심 고조

*아시아서 ‘사회적 책임’ 관심 고조

기사승인 2011. 05. 18. 04: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무분별 성장’ 아닌 ‘사회적 책임’ 강조
출처=thisthattheother.com

[아시아투데이=정희영 기자] 최근 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고속성장보다는 환경, 사회, 기업지배구조 등을 먼저 고려하고 책임 투자를 확산해야 한다는 사회분위기가 정착되고 있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6일(현지시간) 아시아에서 움트고 있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을 조명했다. 이 같은 현상이 확산된 배경으로 지난 3월 일본을 강타한 지진과 쓰나미와 중국의 12차 5개년 계획 발표를 들었다.

3월 11일 일본 열도를 강타한 지진과 쓰나미. 출처=wvva.com
3월 11일 일본 열도를 강타한 지진과 쓰나미. 
                                                    출처=wvva.com
◆ 동일본 대지진, 환경 소중함 깨닫는 계기

지난 3월 11일 지진과 쓰나미가 일본을 덮친 데 이어 그 여파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까지 폭발하자 일본 열도를 포함한 아시아에 자연재해 공포가 확산됐다. 이는 자연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최근 비재무적 위험인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기준으로 삼는 투자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 기업들도 주주들과의 의사소통에 관심을 기울이는 회사들도 늘고 있다.

일본에서는 원전 사고 후 사회책임투자펀드(SRI)도 인기를 끌고 있다. 원전 사태로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반사이익을 누리면서 이와 맞물린 SRI도 덩달아 수혜를 누리고 있는 것이다.

SRI펀드는 지배구조가 건강하고,환경보호나 근로자의 권익보호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일본의 사회책임투자는 ‘발데즈 방침’에 뿌리를 두고 있다. 지난 1989년 발생한 엑손발데즈호의 알래스카 기름유출 사고 이후 알래스카 입법부는 환경적인 비즈니스 관행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발데즈 방침을 입법화 했다. 여기에는 ‘공기와 수질, 토양 및 동물 등에 환경적인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의 방출을 없애는 데 끊임없이 노력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10개 항목이 포함됐다.

SRI 뮤추얼 펀드가 일본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제공된 것은 지난 1999년이다. 이후 환경적 이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이끄는 유사한 SRI펀드가 선보였다. 그러나 운이 없게도 정보기술(IT) 버블 등이 일어나면서 주식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2003년 이후 일본 경제가 회복되면서 다시 인기를 모으고 있으며 지난 2010년 SRI펀드 규모는 54억달러로 전체 뮤추얼 펀드의 0.7%에 달한다. 

출처=chinadigitaltimes.net
   

◆ 중국, 12차 5개년 계획서 ‘환경’ 강조

아시아 국가들이 ‘환경’에 관심을 갖게 된 또 다른 원인으로 지난 3월 발표된 중국의 제12차 5개년 계획을 꼽을 수 있다.

중국은 5개년 계획에 무분별한 경제성장으로 얻어진 ‘굴뚝대국’이라는 오명을 벗고 ‘녹색대국’으로 거듭나겠다고 결심을 표출했다.

이전까지 중국은 ‘바오바(8% 성장목표)’를 최우선으로 하는 경제 목표를 설정하고 질주해왔다. 이에 따라 중국은 제11차 5개년 개발계획 기간에 최소 9.2% 최대 14.2%의 경제 성장을 이룩했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친 고성장 추구정책이 환경과 자원의 병목현상과 과잉공급 구조를 유발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경제성장 방식을 전환했다. 고성장에만 치우치지 않고 환경 등 다른 요소와 균형을 맞추기로 다짐한 것이다.

중국 정부는 제12차 5개년 계획이 끝나는 2015년 탄소 배출량을 17% 줄이겠다고 밝혔다. 또 신에너지, 전기자동차, 환경보호, 바이오, 신소재, 차세대 IT, 첨단장비의 7대 산업을 세계 1위로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2%대에 불과한 7대 산업을 2015년까지 8%, 2020년에는 15%까지 늘리겠다는 것이다.

중국이 환경보호분야에 3조위안(약 516조원)의 대규모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또 에너지 절약을 권고 단계에서 강제 실행의 단계로 전환하고 에너지 자원의 낭비행위를 단호히 억제키로 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