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이 재개발을 추진하는 동안 지금 영업하는 사람들이 장사를 할 수 있는 대체영업장소를 물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성진 해양수산부장관은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이런 내용의 업무계획을 노무현 대통령과 어업인 등 150여명에게 보고했다.
김 장관은 노량진 수산시장 재개발과 관련 "상당히 구체적인 계획을 수협 등 실무진과 함께 논의하고 있다"면서 "재개발에 들어갔을 때 지금 영업하는 사람들의 대체영업 장소를 어디로 할 것이냐와 같이 중요하고 핵심적인 사안에 대해 결론을 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재원의 경우 기본적인 공공시설은 이미 계획된 조달범위내에서 충당하겠지만 좀 더 확대된 개념의 시설에 대해서는 민자유치를 하거나 민자사업자를 참여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양부는 올해부터 2011년까지 1천882억원을 투입해 노량진 수산시장을 전통적인 수산물 물류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수산업과 연관산업의 정보와 인력이 모이고, 일반국민들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복합테마공간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해양부는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교통.환경영향평가 등을 포함한 기본조사와 실시설계를 마무리해 '노량진 수산시장 재개발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고 하반기부터는 단계적으로 재개발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노량진 수산시장은 수산물의 안정적인 공급과 가격조절이라는 전통적인 도매물류 기능을 수행해왔지만 경매장 등 시설이 부족할 뿐아니라 개장된 지 36년이나 지나 노후화돼 있다.
해양부는 이와 함께 한미FTA 등 통상협상에서 국내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WTO-DDA수산보조금 및 관세분야 협상에 적극 대응하고 FTA협상에서는 수산물의 민감성을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양부는 개방에 따른 어업인 지원과 수산업 자생력 회복을 위해 관련법률을 개정해 수산분야 피해지원에 관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