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투데이=구현화, 신건웅 기자] 전문가들은 저축이 줄어든 요인으로 △실질소득의 감소와 일자리 부족 △사회보험료 및 주거비 상승 △물가 상승 △가계부채 증가 등을 꼽았다.
13일 전문가들은 저축이 늘기 위해서는 세제혜택을 주거나 금리를 높이는 등 실질적인 혜택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 임형석 금융연구원 국제거시실 연구위원
|
![]() |
고령화로 국민들의 수입이 줄어든 것도 한몫했다.
저축이라는 개념이 '쓰지 않고 남는 것'인데 소득이 줄고 지출이 늘어든 것이 자발적 저축의 감소요인이다.
가계저축률이 줄면 기업들의 재원이 부족해져 애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저축률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혜택을 주는 금융상품을 마련해야 한다.
장기주택마련저축 등 예전에 저축상품에 줬던 세제혜택을 부활해 저축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해 줘야 한다.
또 예전과는 달리 사회 전반적으로 비전이 없기 때문에 저축을 할 필요가 없다는 분위기가 만연해 정책당국자나 오피니언 리더들이 미래에 대한 비전을 심어주고 저축을 장려하는 사회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 안순권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 |
또 물가가 오르고 사교육비나 주거비, 전세자금이 많이 올랐다. 일자리 상황도 안좋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저축률이 낮은 건 서민생활이 불안해진다는 의미다. 또 기업의 국내 자금조달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민생활 자금의 비용이 줄어야 한다. 특히 교육비와 주거비, 물가 수준이 너무 높다. 경제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이다.
더 중요한 건 많이 벌 수 있도록 임금수준을 높이고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다.
◇ 이은미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
![]() |
부채가 증가하면서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들었다. 또 금리하락으로 인해 저축 인센티브가 감소하기도 했다.
저축은 미래에 생길 수 있는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이뤄진다. 외부 충격에 의해 소비가 급감했을 때 저축을 통해 일정 소비를 유지한다.
저축률이 계속 하락한다면 내수 충격이 커질 때 경제 충격의 완충 역할이 줄어드는 것이다.
저축률 하락을 해결하기 위해선 우선 근로 소득이 높아져야 한다. 소득이 높아져야 소비가 이뤄지고 저축도 할 수 있다. 또 실물 경제 수준에 맞는 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금융경제팀장
|
![]() |
물가 상승으로 돈 쓸 곳이 줄어들었다. 또 가계부채 규모가 커지고 대출금리가 높아지면서 이자부담도 증가했다.
이와 함께 경제성장률이 줄어들어 고용이 줄고 고용소득 등 소득이 감소한 것도 원인이다.
저축률을 높이기 위해선 실질 가처분 소득을 높여야 한다. 물가를 안정시키고, 경제성장 동력을 활성화해 경제성장 둔화를 막아야 한다. 경제성장은 고용을 늘리고 실질 소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가계대출을 관리하고 부채규모가 커지지 않게 조절해야 한다. 대출 금리를 높이는 등 조절도 필요하다.
◇ 이기웅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간사
|
![]() |
저금리 때문에 저축해서 추가소득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이 없다. 물가 급등으로 가처분소득에서 지출 부분이 크고, 벌어들이는 소득이 적어 저축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다.
저축률 하락을 해결하기 위해선 우선 저금리기조를 탈피해야 한다. 낮은 금리로는 저축률을 높이기 어렵다. 또 물가를 안정시키고 가계부채를 축소해야 한다.
이와 함께 소득상승을 위해 일자리를 늘리고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한다. 일자리의 경우 공공근로자나 임시직 등 경기부양을 위해 단기적으로 돈을 풀기보다는 질 높은 일자리를 만드는 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