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유플러스가 최대 50만원을 현금으로 지급한다는 한 온라인 매장의 광고. |
![]() |
SK텔레콤과 KT가 구형폰을 최대 30만원까지 지급하고 최신폰으로 교체해 준다는 한 온라인 매장의 광고 모습. |
방송통신위원회가 추가 과징금을 부과하고 청와대가 불법 보조금 근절에 직접 나섰지만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일부 온라인 매장에서 여전히 불법 보조금이 성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일부 온라인 매장들이 방통위 보조금 상한선인 27만원의 2배에 가까운 5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며 소비자들을 모집하고 있다.
최대 50만원 현금지급은 LG유플러스를 통해, 구형폰 교체는 SK텔레콤과 KT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들이 제공하고 있는 휴대폰은 갤럭시S3·갤럭시노트2·옵티머스G·베가R3 등은 물론 가장 최신폰인 LG전자의 옵티머스G프로, 팬택의 베가넘버6도 포함됐다.
방통위는 지난 14일 전체회의를 열고 최근 영업정지 직전 불법 보조금을 지급한 이동통신 3사에 대한 추가 과징금 처벌을 내렸다.
청와대도 방통위의 추가 과징금 처벌 전날 “최근 이통3사의 단말기 보조금 과다 지급이 사회 문제화되고 있다”며 휴대폰 보조금에 대해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바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추가 과징금 제재 이후 시장은 급속도로 냉각되고 있다”며 “일부 온라인 매장은 자신들의 판매 마진을 깎아서 휴대폰을 판매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