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적정기술 도입으로 도내 생활환경복지 격차 해소 가능

적정기술 도입으로 도내 생활환경복지 격차 해소 가능

기사승인 2013. 03. 20. 08:3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 실업, 양극화 등 자본주의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적정기술 소개
   
수원/아시아투데이 김주홍 기자 = 지속가능한 발전, 따뜻한 자본주의 등이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내 생활환경복지 격차 해소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적정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연구실 고재경 연구위원은 20일 ‘따뜻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적정기술’이라는 보고서에서, 적정기술에 대한 선진국의 투자가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적정기술은 방직기술이 아닌 물레를 돌려 천을 짜는 전통적인 기술이 인도국민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간디의 카디운동에서 태동하여 대량생산 기술의 폐해를 비판한 슈마허에 의해 체계화된 개념으로 ‘사람들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는 환경친화적인 인간중심의 기술’을 말한다.

인력이 필요 없는 자본집중적인 거대 기술보다는 소규모 분산형, 친환경, 단순함, 노동집약적 특성 등을 내세워 ‘따뜻한 기술, 착한 기술’로도 불린다. 현대 자본주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인간소외, 실업, 사회 양극화, 환경파괴 등의 사회문제 해결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재경 연구위원은 이런 적정기술이 도내 생활환경복지 격차 해소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성이 낮아 상·하수도 인프라가 공급되기 어려운 지역에는 지역에 맞는 소규모 급수시설이나 분산형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고 유지관리 인력을 배치해 지역문제도 해결하고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시가스 미공급지역에는 주택단열 개선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통해 난방비를 낮춰 주고 관련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다.

고 연구위원은 이러한 적정기술의 보급을 위해 경기도 권역별로 대학을 지정해 적정기술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센터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적정기술을 개발하고 지역주민이 그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전세계 인구의 약 70%인 40억 명에 달하는 연간 소득 3천 달러 미만의 빈곤계층(BOP:Base of the Pyramid) 시장을 대상으로 한 적정기술 비즈니스모델 개발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빈곤계층 가운데 상위 11억 명은 미래 중산층으로 잠재적 구매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신재생에너지, 물, 의료, 정보통신, 마이크로금융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적정기술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는 것이 고 연구위원의 설명. 일본의 경우 지난 2009년부터, 독일과 네덜란드 역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적정기술 개발과 보급 사업을 펼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고 연구위원은 주장했다.

고 연구위원은 “정부예산의 약 5%를 차지하는 R&D예산 16조원은 대부분 첨단기술에 집중돼 있다”라며 “사회적 필요에 초점을 맞추고 모든 사람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한국형 적정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고 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적정기술의 해외사례와, 적정기술에 대한 오해와 진실 등을 설명하며 적정기술을 소개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