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원규 구글코리아 R&D 총괄 사장이 '더욱 똑똑한 검색: 지식그래프' 및 구글의 검색 비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공=구글코리아 |
하지만 구글 지식그래프는 키워드 검색 기반이 아닌 데이터베이스와 자동 알고리즘을 통해 검색어를 이해해 사용자가 찾고자 한 내용을 검색 결과로 보여준다.
구글은 이번 서비스를 위해 5억7000만개의 인물, 장소, 사물 등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들과 이에 관련된 180억개의 속성들을 서로 연계해 체계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구글 검색창에 '1984년 저자'를 검색하면 '1984년'의 저자인 조지 오웰에 대한 검색 결과를 바로 보여준다. 기존 포털들은 1984년, 저자를 따로 검색해 모두 보여주지만 지식그래프는 소설의 이름과 저자의 뜻을 이어 1984의 저자를 찾는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한 것이다.
이번 지식그래프 검색은 △스포츠, 날씨, 환율 등의 단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라이브 패널 △리스트식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이미지 패널 △검색결과에 대한 정보를 요약해 보여주는 지식 패널로 이뤄져있다.
이러한 구성은 얼핏 보면 기존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백화점 식으로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정리해 제공하는 통합검색과 시스템이 닮아 보인다.
이에 대해 조원규 구글코리아 R&D 총괄 사장은 "사용자들이 보기 편하게 제공하기 위한 창의 구조가 유사할 뿐"이라며 "어떤 검색 결과가 나왔는지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