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조세硏 “中企 연구인력 박사비중 대기업 절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140513010003650

글자크기

닫기

윤광원 기자

승인 : 2014. 05. 13. 07:39

아시아투데이 윤광원 기자(세종) = 중소기업의 연구 인력 중 박사 학위 소지자 비중이 대기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재정지출을 효율화하는 차원에서 기업부설연구소의 설립 인정 기준 완화 정책을 재검토하고, 소액·다건 위주의 지원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3일 손원익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작성한 ‘중소기업 R&D 재정지출 현황 및 문제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1년 기준 중소기업의 연구 인력 중 박사 학위 소지자의 비율은 4.1%로 대기업(8.5%)의 절반 수준도 되지 못했다.

손 연구위원은 연구 인력 중 박사 학위 소지자의 비중이 대기업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오히려 감소세라고 설명했다.

석사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이 군 복무를 하는 대신에 병무청장이 선정한 연구기관에서 해당 전문 연구분야의 연구개발 업무에 종사하는 전문 연구요원제도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편차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2011년에 대기업에 배정된 전문연구요원 329명 중 실제로 편입된 인원은 322명으로 97.8%의 편입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에 중소기업에는 1070명이 배정됐지만 실제로 편입된 인원은 506명으로 편입률이 47.2%에 불과했다. 중소기업은 배정된 인원을 제대로 채우지도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복무를 마친 후 이직하는 비율도 대기업은 40.5%인 데 비해 중소기업은 60.5%였다.

이런 차이 등으로 한국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은 세계 최고 수준 대비 75%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생산성은 대기업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보고서는 또 기업부설연구소의 인정 조건을 완화하는 형태의 현행 중소기업 R&D 지원책은 사후 관리가 어려워 국가 재정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액으로 여러 기업에 배분하는 R&D 지원 정책은 우수 과제에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윤광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