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가 축제의 막을 올린 가운데, 레드카펫의 노출이 확연히 줄고 아시아 최고 영화제로서의 내실을 다지는데 주력한 모습이 돋보였다.
2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는 일본 배우 와타나베 켄과 배우 문소리 사회로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BIFF)개막식이 진행된 가운데, 국내외 영화인 3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날 개막식에 앞서 진행된 레드카펫에서는 그동안 해마다 논란이 됐던 레드카펫의 노출 패션이 확연히 줄어든 모습이었다.
수현 임지연 차예련 김희정 등 영화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여배우들은 화이트 계열의 롱드레스로 은근한 섹시미를 살렸으며, 아역배우 김새론 김향기 등이 레드카펫에 올라 발랄한 기운을 불어넣었다. 영화 감독 겸 배우로 레드카펫을 밟은 구혜선과 김희애는 블링블링한 롱드레스로 우아함을 풍겼다.
화제작 '마담뺑덕'으로 레드카펫에 오른 이솜은 블랙 드레스를 입고 정우성과 함께 비주얼 커플의 면모를 뽐냈으며, 결혼 후 첫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탕웨이는 독특한 패턴이 돋보이는 드레스로 여신의 자태를 드러냈다.
그 밖에 주원 김규리 정유미 조여정 김정훈 유지태 이정현 송일국 이하늬 김남길 한예리 박성웅 조정석 조재현 고아성 조민수 윤계상 조진웅 등이 레드카펫에 올랐으며, 노출이 사라진 레드카펫으로 인해 영화제의 품위와 품격이 한층 상승한 모양세다.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는 이를 위해 올해부터 레드카펫 게스트를 초청작 출연 배우, 감독, 제작자 중심으로 우선 섭외하는 노력을 기울렸다. 또한 영화 상영과 상관없이 진행되는 블루카펫도 과감하게 없앰으로써 더욱 영화제 본연의 의미에 주력하고자 했다.
앞서 이용관 집행위원장은 "영화제 레드카펫의 노출을 어느 정도까지 보느냐의 문제는 당황스러운 문제다. 우리가 수준을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라며 "꼭 필요한 분들이 그렇게 피해를 보는 경우가 있을까 걱정한다"고 솔직한 생각을 전한 바 있다.그는 배우들의 노출 수위에 직접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라면서 "우아하고 격이 높은 레드카펫 행사였으면 좋겠다"는 뜻을 여러 번 전달한 바 있다.
한편 부산국제영화제는 2일 개막을 시작으로 11일까지 열흘간 부산 영화의 전당을 비롯해 7개 극장 33개 상영관에서 79개국 314편의 작품을 상영한다. 개막작은 대만 영화 '군중낙원'이며 폐막작은 홍콩영화 '갱스터의 월급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