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기고] ‘철강업 위기 해법, 어디에서 찾아야 하나?’

[기고] ‘철강업 위기 해법, 어디에서 찾아야 하나?’

기사승인 2014. 10. 28.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신현곤포스코경영연구소 철강연구센터장
증명사진1 (신현곤)
신현곤 포스코경영연구소 철강연구센터장
제조업의 화려한 부활을 알렸던 중국 경제가 최근 성장탄력을 잃고 있다. 중국의 성장에 기대어 한동안 ‘함포고복’을 구가했던 우리 경제 또한 힘겨운 싸움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중국 제조업에서 시작된 ‘과잉’의 후폭풍과 엔저를 무기로 한 일본기업의 부활이 우리 기업을 생존경쟁에 내몰고 있다. 철강도 예외가 아니다.

올 2분기 국내 20대 상장 철강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6% 수준으로 전년동기대비 0.1%포인트 이상 떨어졌다. 적자업체 또한 1곳에서 4곳으로 늘었다. 신용등급 강등과 재무구조개선 압박에 대응한 사활을 건 업계의 자산 재조정이 진행되고 있다. 철강업계의 혹독한 겨울나기가 시작됐다.

수요산업 부진과 중국산 저가 제품의 대량 유입, 그리고 해외시장의 철강 보호무역주의가 어려움에 단단히 한 몫을 하고 있다. 올 상반기까지 중국산 강재의 수입은 670만톤으로 지닌해 동기 대비 34%나 급증했다. 반대로 해외 시장에서 한국산 강재에 대한 반덤핑 제소는 지난 8월까지 16개 국에서 총 57 건이 달했다.

공급과잉문제가 단기간에 쉽게 해소될 리도 만무하거니와 일본의 엔저도 우리의 기대만큼 빨리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당장에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전가의 보도(傳家의 寶刀)’ 또한 없다. 이제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은 정부·협회·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할 수 있는 일부터 찾아서 하는 것이다.

그 중 첫째로 할 일은 수입재 급증을 방어하는 것이다. 단순히 보호장벽을 높이는 대응만으로는 어렵다. 안전과 환경 등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품질·규격의 기준을 높이고 이에 맞는 제품이 사용되고 수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부와 업계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할 부분이다. 국내 수요업체와 유통부문의 동참과 협력을 이끌어 내고, 국내산업이 위협을 받을 때에는 보호조치 발동도 언제나 동원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둘째는,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통상문제를 사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정부와 협회가 앞서고 업계가 적극적으로 뒷받침해 철강통상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공유하며, 관리·서비스하는 체계를 갖출 필요성이 있다. 개별기업이 가질 수 없는 정부와 유관기관 그리고 업계 전체의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자는 것이다.

셋째는 국내 철강산업의 구조 자체를 안정화 시켜나가야 한다. 공급과잉문제는 국내 철강산업도 예외일 수는 없다. 무분별한 설비확장도 과열된 판매경쟁도 국내시장구조를 취약하게 할 뿐이다. 산업재편과 구조 최적화를 위한 정부의 건설적 리더십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최대치를 발휘함으로써 겨울나기를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다가오는 봄은 준비된 자들의 몫이다. 긴 겨울 동안 업계내의 산업재편과 수입재로부터 국내시장을 방어하고 해외 시장에서 통상문제를 우회하는 일본 철강산업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하겠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